하인리히 법칙

큰 사고 전 있었던 수많은 경고

개념

하인리히 법칙(Heinrich's Law)은 미국의 허버트 윌리엄 하인리히(Herbert William Heinrich)가 소개한 것으로, '1 : 29 : 300 법칙'이라고도 한다. 평균적으로 1건의 큰 산업 재해 이전엔 29번의 작은 재해, 300번의 부상을 입을 뻔한 징후들이 있다는 법칙이다.

내용

하인리히 법칙은 사소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신속히 대처한다면 사고로 이어지지 않으나, 방치한다면 훗날 대형 사고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을 경고한다. 대부분의 대형 사고는 불시에 벌어진 게 아닌 예고된 재앙이라는 것이다.

하인리히는 산업 재해는 '사회적 환경→노동자의 실수→위험한 행동 및 기계적 위험→사고→재해' 총 5단계를 거쳐 발생한다는 도미노 이론을 함께 제시했다. 3단계인 '위험한 행동 및 기계적 위험'을 제거하면 사고를 막을 수 있다는 게 핵심이다.

1930년대에 나온 법칙을 현재에 적용시키기엔 산업 구조가 크게 변했다는 지적이 나오나 경험을 분석해 산업 재해를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단 점에서 의의가 있다.

배경

1920년대에 미국 한 보험사의 엔지니어링 및 손실 통제 부서에 근무하던 하인리히는 7만5000건의 산업 재해 사례를 분석한 결과 하인리히 법칙을 찾아냈다. 1931년 그는 <산업재해예방>이라는 책을 발간하며 하인리히 법칙을 소개했다. 그 후 널리 퍼져 산업 재해는 물론 각종 개인 사고나 사회·경제적 위기 등에 인용됐다.

쟁점

핵심

예시

2014년 4월16일에 벌어진 세월호 침몰 사고는 사전에 충분히 막을 수 있었으나 초기 문제를 방치했던 것이 드러났다. 사고 발생 3개월 전 국민신문고에 세월호 선사인 청해진해운과 관련해 선박 안전 등에 대한 고발 민원이 올라왔으나 피드백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연관 뉴스

No items found.

연관 리포트

No items found.

연관 토론

No items fou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