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사오적

일제에 나라 넘긴 5명의 대신

개념

을사늑약에 서명한 다섯 명의 대신. 나라를 일제에 넘긴 도둑이라는 뜻에서 적(賊·도둑 적)이라는 표현을 붙였다.

내용

을사오적을 알기 위해서는 을사늑약부터 살펴봐야 한다. 1904년 러일 전쟁에서 이긴 일본은 대한 제국까지 마수를 뻗쳤다. 외교권을 뺏고 지배하기 위해 이토 히로부미는 1905년 11월17일 주조선 일본군 사령관과 헌병을 대동하고 덕수궁의 어전회의(지금의 국무회의 성격)에 들어와 조약을 강요했다. 외교권을 강탈해 사실상 주권을 뺏는 조약이었다.

회의장에 있었던 학부대신 이완용을 비롯해 내부대신 이지용, 외부대신 박제순, 군부대신 이근택, 농상공부대신 권중현 등 5명이 조약에 서명했고, 이들은 나라를 넘긴 '을사오적'이라 불리게 됐다. 지금으로 보면 국가 핵심 내각이 매국 조약을 체결한 셈이다.

  • 학부대신은 지금의 교육부 장관 성격이고, 내부대신은 행정안전부 장관 격이다. 외부대신과 군부대신은 각각 외교부와 국방부 장관으로 보면 된다. 농상공부는 농림축산식품부와 산업통상자원부를 합친 부처 장관이다.

배경

대한 제국의 황제였던 고종의 오판이 낳은 결과다. 그는 조약에는 반대했지만 끝까지 버티지 못하고 신하들에게 결정을 넘겼다.

쟁점

쟁점나라를 팔아넘긴 매국노들이라 친일인명사전에서도 맨 앞장에 자리한다. 하지만 '직접' 팔아 넘겼다'고 하기에는 어폐가 있다. 어쨌든 조약의 최종 인준 권한을 가진 사람은 고종이다. 이들은 사람마다 다르지만 일본의 기세에 떨어 찬성 의사를 에둘러 전한 정도였다. 하지만 나라 녹을 먹는 대신들이 강하게 반대하지 않고 서명했다는 점에서 당연히 비판받아야 한다. 이들이 버텼다면 최소한 시기를 늦추거나 상황에 따라서는 맺지 않았을 수도 있었다.

또한 이 5명 외에도 을사늑약의 뒤에는 잘 알려지지 않은 이들이 있다.

궁내부대신(지금의 비서실장) 이재극은 처음에는 반대했지만 을사오적의 찬성 후 고종에게 조약문을 가져가 결재를 받아냈고, 탁지부대신(지금의 기획재정부 장관) 민영기는 이후 친일로 돌아서 일본으로부터 남작 작위를 받았다. 역시 반대했지만 늑약 이후 가장 적극적으로 친일에 나선 이하영은 지금의 법무부 장관 격인 법부대신이었다.

특히 주목해야 할 사람은 지금의 국무총리 역할이었던 한규설이다. 참정대신이었던 그는 끝까지 반대 의견을 냈고, 늑약이 이뤄진 뒤에는 해임됐다.

핵심

을사늑약이 가진 무게감만큼이나 매국노의 대명사로 일컬어진다. 특히 이완용이 더 많이 알려진 건 이후 친일 행위가 오적 가운데 가장 심각해서다.

예시

출처

연관 뉴스

No items found.

연관 리포트

No items found.

연관 토론

No items fou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