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시버닝

돈이 다 탔다?... 현금 고갈 현상

개념

Cash Burning. 직역하면 돈을 불에 태운다는 뜻으로 현금 고갈을 이르는 말이다.

내용

어떤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들면 만들수록 현금이 유출되는 상황. 수입과 지출에는 분야마다 적정 비율이 있지만 이를 무시하고 높은 비율로 지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품이라고 하면 원가보다 판매가격이 낮은 경우, 서비스라고 하면 투입 비용이 전체 서비스 이용료보다 낮은 때를 일컫는다.

배경

시장을 선점하려 할 때 발생하곤 한다.  많은 개발비용을 토대로 더 완벽한 제품 또는 서비스를 만들거나, 마케팅 비용을 쏟아부어 잠재고객을 확보하겠다는 것. 기업 간 인수합병 과정에서 출혈이 있더라도 인수하려는 기업의 성장 가능성이 크다면 이를 감수하기도 한다.

쟁점

캐시버닝 상황에서는 버틸 수 있는 자본을 확보한 기업만 살아남을 수 있다. 사실상 큰 기업만 가능하다는 뜻이다. 반대로 말하면 자본력을 바탕으로 출혈을 잠시 감수하고, 이후 큰 이익을 노리는 독과점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핵심

예시

우리나라에서 캐시버닝의 예로는 쿠팡이 꼽힌다. 자금력을 바탕으로 물류에 큰 비용을 쏟아 로켓배송을 정착시켰다. 이를 바탕으로 다른 경쟁업체를 일단 누른 뒤에 이익이 늘어나는 시점에 메꾸겠다는 게 쿠팡의 전략이었다.

대표적인 OTT 서비스인 넷플릭스도 캐시버닝 전략을 쓴다.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에 쏟는 돈이 천문학적이다. 서비스가 궤도에 오르기 시작한 2018년에는 콘텐츠 제작에만 한해 매출 110억달러(한화 약 11조7000억원)의 70%가 넘는 80억달러(약 9조원)을 쏟아부었다.

출처

연관 뉴스

No items found.

연관 리포트

No items found.

연관 토론

No items fou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