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 학습부터 수행대비까지 똑스AI 활용!

지금 가입하고 최대 할인 혜택 누리기!

대학 사회의 꽃 ‘총학생회’가 흔들린다

상아탑의 학생 자치 어디로 가나

👀 한눈에 보기

에디터의 노트

대학 학생 사회의 꽃 ‘총학생회’가 사라지고 있다. 명맥을 잇는 게 버거워 보인다. 코로나19로 대학생활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지 오래. 오프라인으로 모이지 못하니 학생들과 학교 본부의 연결고리였던 학생회도 위축된다. 이유는 또 있다. 점차 개인화되는 학생들의 성향이 학생 자치에 무관심한 흐름을 가져왔다. 불신도 작용했다. 문제 제기의 창구이자 학생 사회의 대변인이었던 이들은 추억으로만 남게 될까.

왜 중요한가? 🔥

큰 그림

청사진

이슈와 임팩트
스탯
걱정거리
이해관계자 분석
진실의 방: 팩트 체크
말말말
일기예보
타임머신: 과거 사례
먼나라 이웃나라: 해외 사례
그때 참 괜찮았지

지성의 전당인 대학. 잔디밭에서 기타를 치는 풍경은 로망일 뿐이라는 걸 깨닫기 오래 걸리지는 않아도, 대학생만의 패기와 문제의식, 사회에 대한 거침없는 목소리는 여전히 학생들의 역할이자 특권이기도 하다.

학생 자치를 담당하는 총학생회는 이러한 목소리를 잇는 훌륭한 기지였다. 등록금 인상에 반대하는 집회를 주도하거나 대학 본부의 알 수 없는 행정에 대신 반대하고, 넓게는 사회 이슈에 젊은이들의 목소리를 올려놓는 메신저 역할을 했다. 구태의연한 정치인들의 행동에 성명으로 일침을 놓고, 학내 비리를 가감 없이 고발하고, 약자들에게 눈을 돌려 사회 운동의 씨앗을 뿌렸다.

학생회는 또 ‘연대’의 상징이다. 우리 학교가 아니라도 힘을 합쳐 문제에 대응한다. 대표적인 것이 2015년 출범한 ‘사이다’(사립대학 이대로는 아니 된다)다. 서울 지역 사립대 학생회 11곳이 모여 연석회의를 꾸렸다. 2019년에는 전국 28개 학교 학생회가 모인 ‘전국대학학생회네트워크’가 결성되는 등 학생회 활동은 어려움 속에서도 명맥을 유지해왔다. 이들은 학내외 이슈에 메스를 대신 대줬다. 법 테두리로 정한 등록금 인상이 맞는지 체크하고, 일방적인 학사제도 개편을 막기 위해 동분서주했다. 이 과정에서 정부 정책에 대한 대안도 스스로 제시했다.

당연히 각 학교 학생회도 자신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했다. 간단하게는 학생들이 불편해하는 요소를 시원하게 긁어줬다. 학교 자치공간 확보나 수강신청 시스템 개선, 인근 자취방 정보 제공 등 학생 개개인이었다면 하기 힘든 일들을 지원사격했다. 무분별한 광고 대자보 게재를 막거나 비흡연자를 위한 흡연 구역 설정 등 캠퍼스 곳곳에 노력이 녹아들었다.

시계를 앞으로 돌리면 학생회 출신들은 정계나 학계에 진출해 바람을 불어넣었다. “좋은 자리로 나가는 발판으로 삼는다”는 지적은 있었지만, 긍정적 효과만 보면 학생회장 출신 국회의원, 집행부 출신 사회운동가 등 의사조율을 하거나 사회 이슈를 깊게 연구해 본 학생회 활동이 더 넓게 세상을 보고 문제를 발견하는 내공을 다져준 것은 부인하지 못한다.

지금은...

그러나 현재 총학생회의 위기를 검색하면 수많은 기사와 글이 나올 만큼 활동은 과거보다 위축됐다. 취업난으로 인한 스펙 쌓기, 코로나19로 인한 관계 단절, 잡다한 민원 창구로만 여기는 학생들의 의식 변화까지... 상아탑의 아이콘이었던 학생회는 과거의 명성을 이어가지 못하고 있다. 학생회를 꾸리지 못하는 학교가 부지기수다. 단독 입후보에도 선거 투표율이 나오지 않아 결과를 못 내거나 아예 후보자가 나서지 않는 등 무관심 속에서 제대로 된 구성이 요원해졌다.

아울러 총여학생회는 예기치 못한 갈등을 몰고 오며 기름을 부었다. 1980년대 태동한 여학생회는 2010년대에 들어와 줄줄이 폐지 수순을 밟았다. 불과 몇 년 전에는 연세대 여학생회가 사라졌고, 지난해 여름에는 비상대책위원회 형태로 꾸려지던 경희대 여학생회가 해산했다. 경희대는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투표를 진행했지만, 투표율이 낮아 연장 투표까지 진행했다. 그럼에도 해산 찬성 63%로 결국 해산됐다. 총여학생회들은 해산 과정에서도 “학생회 방을 빼라”는 등의 공격이 이뤄지는가 하면, “왜 따로 특정 성별만 생각해야 하냐”는 등 또 다른 젠더 갈등이 싹텄다.

또 취업난과 코로나19는 무관심의 기폭제가 됐다. 진로 걱정에 학생 자치는 남의 일처럼 여겨지고, 일부에서는 학생회 활동을 스펙으로만 여긴다는 생각에 거리를 둔다. 가끔 학생회의 잘못된 판단과 행동이 입방아에 오르내리기도 한다.

단체 운영에는 경비가 필수다. 1만원 안팎의 학생회비로 운영되는 탓에 학생회는 늘 회비 납부를 요청할 수밖에 없다. 학생들 입장에서는 경비를 어디에 사용하는지 모르겠다는 푸념이 의심으로까지 번지는 등 위상은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이 낮아졌다.

체크 포인트

돌아 보면 가장 좋은 시절이라는 대학 생활. 아름다운 젊은 날을 보내는 터전이다. 학생이 없으면 학교도 없다는 명제를 차치하더라도 문제 제기와 의견 전달의 구심점은 학생 사회에 꼭 필요한 요소다.

신입생 오리엔테이션이나 봉사활동, 간식 사업 등 단과대 차원의 일에도 학생회의 손길이 필요하다. 코로나19의 창궐 속에서 학생들을 위한 방역이나 수업 지침을 꼬집는 것도 이들의 일이자 임무다.

일종의 권력에 맞서는 일은 언제나 가치가 있다. 그게 꼭 부당한 일이 아니더라도 말이다. 학교 본부의 행정에 의견을 대신 내주고, 학교 청소노동자를 위한 휴게 공간을 요구하고, 등록금 인상이나 입학금의 근거를 요청하고, 부정입학이나 학교 선배들의 잘못을 꼬집는 일 등 학생회가 맡아줘야 할 일은 적지 않다.

학생회도 지적들을 무시해서는 안 된다. 더 꼼꼼하고 투명히 학생회비 집행내역을 공개하고, 늘 학생회실의 문을 열어야 한다. 스펙으로 삼자는 생각을 앞에 두지 말고 정말 온 힘을 다해 봉사하고 학생들의 이익을 위해 발로 뛰어야 한다.

추억은 방울방울

사라진 학생회의 이름이 적힌 낡은 목조 간판은 어디로 옮겨질까. 끈끈했던 학생들이 갈라졌듯 어디서 마른 신음을 내고 있진 않을까. 관심은 없더라도 응원마저 끊을 필요는 없다. 학생회장은 군림하는 사람이 아니라 내 친구고, 학생회는 우리 입장을 대변해 주는 사람들이다. 학생회실은 학생 자치의 아고라이고, 이들의 목소리는 곧 우리의 목소리다.

혹자는 학생회가 없어도 크게 불편하지 않다고 한다. 틀린 말은 아니다. 그래도 학생회가 소중한 건 제일 찬란한 삶의 시기의 동반자가 돼 주기 때문은 아닐지.

다음은 뜨끈한 기운에 몸을 녹이던 물가(?)에 빠져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