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방임주의의 한계를 보완한 형태의 자본주의 체제
수정 자본주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자유 방임주의와, 대공황에 관해 알고 있어야 해요. 자본주의의 역사에 있어 앞서 말한 3가지 개념이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죠. 그렇다면 한 번 알아볼까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을 중심으로 국제 경제 질서가 시작되어요. 당시 미국은 달러를 중심으로 화폐 경제를 구축하고, 다양한 기업들이 미국에서 경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기업의 활동에 대한 규제를 거의 하지 않았죠. 그러자 1929년 미국 월스트리트에서 시작한 금융 위기가 전 세계로 퍼지며 경제 대공황이 발생했어요. 극심한 경제 침체로 인해 물가가 내려가는데도 소비가 증가하지 않는 사태가 벌어진 것이죠. 이때 등장한 대안이 바로 '수정 자본주의'에요. 경제학자 케인즈를 중심으로 실업과 경제 침체를 막기 위해 국가가 적극적으로 나서서 경제에 개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었죠. 이에 루즈벨트 대통령은 대공황이라는 절체절명의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경제 전체에 수정 자본주의적 요소를 도입하기로 결정해요. 국가가 주도하여 대규모 토목공사를 진행하여 일자리를 발생시키고, 실업 급여와 최저 임금제를 도입하여 국민의 최저 생계를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합니다. 이처럼 수정 자본주의의 경제 체제 하에 미국에서 진행한 정책을 '뉴딜 정책'이라 부른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