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레스트로이카

소련에 불어온 새로운 개혁의 움직임

사전적 정의

'재건', '개혁'의 뜻을 가진 러시아어로,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1985년 3월 소련 공산당 서기장에 취임한 후 실시한 개혁정책

쉬운 설명

POINT 1📌

냉전의 거대한 축을 담당했던 소련은 1970년대의 석유 파동, 1980년대의 경제 성장 둔화 및 사회 부정부패의 심화로 위기를 겪게 되었습니다.

POINT 2📌

이러한 배경 속에서 1985년 고르바초프는 공산당 서기장으로 취임하였고, 소련에 대대적인 개혁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죠.

그 결과 '개혁'의 의미를 담고 있는 페레스트로이카, '개방'의 의미를 담고 있는 글라스노스트라고 불리는 정책을 시행하게 되었습니다.

POINT 3📌

페레스트로이카의 대표적인 사례로는 기업이 이윤을 추구할 수 있도록 시장 경제 원리를 도입하고, 정치 민주화를 통해 부정부패를 해결하는 것 등이 있었습니다.

실제로, 1989년에는 소련 사상 처음으로 민주적인 경선 방식에 의한 인민 대회 대의원 선거(우리나라의 국회의원 선거에 해당함)가 이뤄지기도 했습니다.

POINT 4📌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소련의 사정은 나아지지 않았습니다.

되려 소련 연방 내의 국가들이 독립을 선포하면서 1991년 소련은 해체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