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건', '개혁'의 뜻을 가진 러시아어로,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1985년 3월 소련 공산당 서기장에 취임한 후 실시한 개혁정책
냉전의 거대한 축을 담당했던 소련은 1970년대의 석유 파동, 1980년대의 경제 성장 둔화 및 사회 부정부패의 심화로 위기를 겪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1985년 고르바초프는 공산당 서기장으로 취임하였고, 소련에 대대적인 개혁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죠.
그 결과 '개혁'의 의미를 담고 있는 페레스트로이카, '개방'의 의미를 담고 있는 글라스노스트라고 불리는 정책을 시행하게 되었습니다.
페레스트로이카의 대표적인 사례로는 기업이 이윤을 추구할 수 있도록 시장 경제 원리를 도입하고, 정치 민주화를 통해 부정부패를 해결하는 것 등이 있었습니다.
실제로, 1989년에는 소련 사상 처음으로 민주적인 경선 방식에 의한 인민 대회 대의원 선거(우리나라의 국회의원 선거에 해당함)가 이뤄지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소련의 사정은 나아지지 않았습니다.
되려 소련 연방 내의 국가들이 독립을 선포하면서 1991년 소련은 해체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