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의종 24년(1170)에 일어난 무신들의 난
태조 왕건이 고려를 세운 후, 새로운 세력을 키우고자 광종 때 과거제가 실시되었어요. 과거제는 유교 경전(책)을 이해하는 정도에 따라 관직을 주는 제도였어요.
이러한 과거제의 실시로 유교 경전을 공부한 문(文)신이 중요한 관직을 차지했고, 무예를 익힌 무(武)신은 문신에 비해 높은 관직에 오르지 못하는 등 차별 대우를 받았어요. 즉 고려시대 초기는 문신이 중심인 문벌 사회였죠.
군인들은 전쟁에 동원되면서 건물도 짓는 나랏일을 해야만 했고, 군인전(국가에 소속된 군인들에게 세금을 걷을 수 있도록 주었던 토지)도 받지 못하자, 불만이 쌓여 갔어요.
문신과 무신 간의 갈등도 커졌어요. 대표적으로 <삼국사기>라는 역사책을 쓴 김부식의 아들 김돈중이 무신인 정중부의 수염을 태운 사건과 어린 문신인 한뢰가 나이가 많은 무신인 이소응의 뺨을 때린 일화가 전해져 오고 있어요.
그만큼 무신은 차별받았고, 정변의 기회를 엿보고 있었어요.
1170년 의종 임금 때, 국왕의 보현원 행차에서 무신인 정중부, 이의방, 이고가 정변을 주도하고, 문신을 몰살했어요.
이때, “무릇 문관을 쓴 자는 서리(문신 중 낮은 관리)라도 씨를 남기지 말고 모조리 죽여라.”라고 외쳤다고 해요. 왕과 태자(왕의 아들)를 쫓아냈고, 허수아비 왕으로 명종을 세웠어요.
무신정변에 저항해서 ‘김보당의 난’과 ‘조위총의 난’이 일어났지만 모두 실패했어요.
이후 1270년까지 100년간 지속된 무인 정권은 정중부, 경대승, 이의민이 차례대로 정권을 장악했고, 최중헌이 권력을 독점한 이후에는 그 자손들이 이어서 정권을 차지했어요.
이러한 무신 정권은 정방, 교정도감 같은 새로운 정치기구를 만들어 나라를 정비해 나갔지만, 원나라(몽골)의 침략으로 무너지게 됩니다.
고려시대 초기는 유교 지식을 열심히 공부한 문벌 세력이 주도했어요.
무신 정변 이전에 일어났던 이자겸의 난,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도 개경(수도)의 문벌 세력이 너무나 거대해져 불안정한 분위기 속에 일어난 현상으로 볼 수 있어요. 그리고 무신정변으로 상황이 역전되었던 것이에요.
100년 동안 고려시대를 움직였던 무신 정권의 시작인 무신정변을 꼭 알아둡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