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갑제

명나라의 지방 자치제도

사전적 정의

중국 명(明)나라의 촌락자치적 행정제도

쉬운 설명

POINT 1📌

이갑제는 명나라를 건국한 주원장(태조 홍무제)이 만든 지방 자치 제도예요.

이러한 제도를 만들게 된 데에는 안사의 난 이후 황제가 한 사람 한 사람을 지배하던 제민지배체제의 한계가 나타난 것이 결정적이었어요. 더욱이, 원나라 시절에 운영되던 조직(행성)이나 제도(다르가치)로는 지방에 대한 중앙정부 조직의 권한을 행사하기 어렵다고 보기도 했죠.

이에 주원장은 황폐해진 농촌을 재건하고, 농민들의 삶을 돌보면서 자체적으로 세금을 걷고 농촌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인 이갑제를 실시하게 되었어요.

POINT 2📌

이갑제가 운영된 방식을 알아볼까요?

우선, 110개의 집(호)을 1리로 편성했어요. 다음으로, 110개의 집(호) 중에서 돈이 많고 부유해서 마을을 돌볼 만한 여유가 있는 10개의 집을 이장호로, 나머지 100개의 집을 갑수호로 하여 10갑으로 편성했어요.

정리하면, 110개의 집이 10개의 이장호, 나머지 100개의 집을 10개씩 묶어 1갑으로 편성된 거죠.

POINT 3📌

매년 이장호 1개의 집과 갑수호 1개의 집이 돌아가면서 세금을 걷고, 치안을 유지하고, 농사를 짓는 데에 필요한 시설을 고치는 일을 담당했죠.

순서는 1년마다 바뀌어 모든 집이 10년에 한 번은 이장호의 몫을 하거나 갑수호의 몫을 하도록 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