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문세족

고려 말의 핵심 지배 세력

사전적 정의

고려 말 원나라의 도움을 받아 높은 벼슬에 오르고 막강한 권력을 얻었던 지배 세력

쉬운 설명

권문세족은 고려 전기 문벌 귀족의 뒤를 이어 무신 집권기~원 간섭기에 걸쳐 지배 세력으로 성장한 귀족 계층이에요. 특히, 13세기 후반 들어 원(몽골)의 내정 간섭이 더욱 심해지는 과정에서 원(몽골)과 밀접한 관계에 있다는 이유 만으로 자연스럽게 권력을 얻게 된 경우가 대부분이었죠.권문세족은 원 세력의 힘을 업어 막강한 권력을 행사할 수 있었어요. 과거가 아닌 주로 음서제를 통해 고위 관직을 독점하면서 사회적 기반을 다지는 한편 농민들의 땅을 빼앗아 대농장을 운영하기도 했죠. 나라에 세금조차 내기는커녕 오히려 농민들을 노비로 삼는 등 이들의 횡포는 더해갔어요. 그 결과, 국가 재정이 궁핍해지는 것은 물론, 각종 폐단들이 나타나기에 이르렀죠. 이에 충선왕 대 들어 사회 개혁 정책을 시도하고자 하였지만 원의 압력과 함께 권문세족의 거센 반발이 일면서 실패하고 말았어요. 그러나, 공민왕 대 들어 반원 자주 정책이 시행되면서 권문세족의 권력은 약해지기 시작했고 결국 새롭게 등장한 신진사대부 세력의 성장에 밀려 사라지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