받는 사람의 이름이 적혀있지 않은 관리 임명장
공명첩이란 이름이 적혀있지 않은 백지의 임명장을 말해요. 현재로 치면, 학급의 반장에게 임명장을 줄 때 이름이 적어서 주지 않는 것과 같지요.조선 후기에는 노동력을 줄일 수 있는 모내기법이 확산되고, 수리 시설 등이 발달하면서 농업의 생산량이 크게 증가하였어요. 이로 인하여 많은 재산을 축적한 농민들이 등장하였답니다. 이렇게 부자가 된 농민들은 양반이 되고자 하였어요. 양반이 된다면 군대를 가지 않아도 되고, 세금도 면제 받을 수 있었기 때문이죠. 이때 합법적으로 양반이 될 수 있었던 방법이 바로 공명첩이에요.원래 공명첩은 임진왜란 때, 군공을 세우거나 국가에 곡식을 받친 사람들에게 그 대가로 주던 것이었어요. 그러나 임진왜란이 끝난 이후에도 조선 정부는 국가의 재정이 부족하거나 흉년으로 백성의 삶이 어려울 때 수시로 공명첩을 발행하였습니다. 부자가 된 농민들 이러한 공명첩을 돈을 주고 사서 자신의 이름을 적으면 양반이 될 수 있었던 것이지요.다만, 공명첩을 발행하는 과정에서 지방관이나 향리들의 비리가 심하였고, 공명첩 발행 이후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았기 때문에 조선 후기 신분제가 흔들리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