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의제

국민의 목소리를 대표가 대신 내는 정치

사전적 정의

대표를 뽑아 정치를 대신하는 간접 민주 정치국민이 선출한 대의원으로 의회를 이루고 그들이 국민을 대신하여 국가 의사를 의논하는 방식의 간접적인 민주 정치

쉬운 설명

대의제는 국민이 뽑은 대표를 통해 국민의 의사가 반영되는 정치 방식의 한 종류를 뜻해요. 대의제를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대의제가 등장하게 된 이유를 먼저 알아야 해요. 대의제는 한 국가의 국민이 많아지면서 등장한 정치 방식으로, 이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우리나라 상황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어요. 현재 우리나라의 주권은 국민이 가지고 있으므로 주권을 가진 국민은 사회, 경제 등과 같은 전반적인 영역에서 의사 결정을 할 수 있어요. 그런데, 모든 국민들이 자신의 의사를 정치에 반영하기 위해 한 공간에 모일 수 있을까요? 맞아요, 인원이 너무 많아서 한 공간에 모여서 국가와 관련한 의사 결정을 내리기 불가능해요. 그래서 사람들은 자신들의 의견을 정치에 반영할 수 있는 대표자를 투표를 통해 뽑고, 그들을 통해 자신들의 의견을 내세우고자 하는 것이죠. 다시 말해 대표를 통해 국민들은 한 장소에 다 모이지 않고도 자신들의 의견이 반영된 국가를 만들어갈 수 있는 것이죠. 이와 같은 장점에서 오늘날 많은 국가들이 대의제 정치 방식을 채택하여 국가를 운영하고 있기도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