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노미 이론

일탈 행동은 규범이 혼란해서 발생해!

사전적 정의

사회적 규범의 동요·이완·붕괴 등에 의하여 일어나는 혼돈상태 또는 구성원의 욕구나 행위의 무규제 상태

쉬운 설명

POINT 1 📌

‘아노미’는 프랑스 사회학자 ‘뒤르켐’이 그의 저서 <자살론>에서 처음으로 사용한 개념이에요.

문자 그대로의 의미를 보자면 ‘규범이 없는 상태’를 말하는 것이죠.

급격한 사회 변동으로 기존의 가치관이나 규범이 붕괴하고, 이를 대신할 만한 새로운 공통의 가치관이 도덕적 규범이 성립되지 않는 ‘무규범 상태’를 아노미라고 불러요.

POINT 2 📌

사람들이 아노미 상태에 있게 되면 규범의 혼란을 겪기 때문에 그 사회의 지배적 가치와 규범에서 벗어난 행동을 하게 되고, 비행이나 범죄와 같은 일탈 행위를 할 가능성이 커지게 돼요.

예를 들어, 과거 절도가 큰 범죄였지만, 물질 만능주의가 확산하고 ‘돈’을 가지고 싶은 사람들의 욕망이 통제되기 어려워지면서 절도가 증가하게 되는 현상을 ‘아노미 이론’으로 설명될 수 있어요.

POINT 3 📌

아노미를 다르게 해석하는 사람도 있는데요, 바로 ‘머튼’입니다.

머튼은 ‘문화적 목표’와 ‘제도적 수단’ 간의 괴리로 인해 나타나는 가치관의 혼란 상태를 ‘아노미’라고 보고 있어요.

예를 들어, 경제적으로 풍족한 삶을 누리고자 하는 목표는 있지만, 정상적인 방법으로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고 비합법적인 수단을 동원할 때, 절도와 같은 일탈 행동이 발생한다고 보는 것이 머튼의 ‘아노미 이론’으로 설명될 수 있는 일탈 행동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