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법적 실체를 중시한 조선 성리학의 특징과 한계는 무엇인가?

1. 동양에서 가리키는 천(天)의 의미

  • 주재적 천: 하늘을 세계를 지배하고 다스린다고 보는 관점
  • 자연적 천: 하늘을 어떠한 인격적 요소가 없는 단지 자연현상이라고 보는 관점
  • 이법적 천: 하늘을 우주와 만물의 법칙이라고 보는 관점
  • 성리학에서의 천 : 하늘은 이치를 가진 존재로 보는 관점 → 천리는 자연과 인간 사회에 모두 적용되는 보편적 법칙

2. 조선 성리학의 한계

  • 하늘의 이치(천리)를 인간이 본받아야 할 도덕적 규범으로 봄 → 도덕적 규범을 실제 삶 속에 있는 것이 아니라 초월적인 원리의 세계의 것으로 보았다는 문제점 O

정약용

1. 성 기호설

  • 본래 성리학에서 주장하는 '성'의 의미(하늘로부터 부여받은 선한 본성) 부정
  • : 선을 좋아하고 악을 미워하는 마음의 경향성 (이법적 실체 X, 마음이 지닌 기호 O)
  • 성의 종류 : 형구의 기호(몸에서 나온 사사로운 욕구를 추구하는 몸의 경향성,) 영지의 기호(도덕적으로 옳고 선한 것을 좋아하는 마음의 경향성)

2. 자주지권

  • 자주지권 : 인간은 선과 악을 선택하여 행할 수 있는 자유 의지를 지닌 존재
  • 인간을 주체적인 존재로 파악함

3. 사덕(인의예지)

  • 하늘로부터 부여받아 본래 인간 마음에 갖추어진 도덕성으로 보는 본래의 관점 부정
  • 선천적으로 부여받은 도덕적 마음인 '사단'을 현실 속에서 계속 실천함으로써 → 사덕을 쌓을 수 있다고 주장 (사덕은 본래 있는 것이 아니라, 쌓아가야 하는 것으로 해석)

4. 욕망의 긍정

  • 본래 성리학에서는 욕망을 인간의 욕심으로 보며 부정적인 것으로 해석 → 이에 반대함
  • 욕망에는 '도덕적인 욕망'도 있기 때문에 긍정함

5. 주체적 실천을 통한 사회 개혁 추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