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 정식 서비스를 활용하세요!

교과서 요약, 용어사전, 5분 탐구, 그리고 수행평가 및 문제 분석까지!

바로가기
도덕적 마음과 제도적 규범

1분 요약

도덕적 마음과 제도적 규범

1. 유교 사상은 어떻게 성립하여 발전해 왔는가?

  • 선진 유교 : 공자 (사람에 대한 사랑을 뜻하는 '인'의 규범 제시, 대동 사회라는 도덕 사회 실현 추구), 맹자&순자 (공자의 사상을 토대로 인간 본성과 사회 질서 확립 방안에 대해 서로 다른 주장을 함)
  • 성리학 : 이와 기를 중심으로 인간 본성, 자연 질서, 도덕 법칙, 사회 규범을 설명 (주희가 집대성)
  • 양명학 : 명대에 들어서 왕수인이 심학(마음에 대한 윤리)의 체계를 확립

2. 공자

  • 인(仁) : 남을 사랑하며 배려하는 도덕적인 마음, 인간됨의 본질인 사랑의 정신 → '인'이 실현된 두 가지의 실천 덕목 (부모 자식 간의 사랑인 '효', 형제 간의 우애인 '제'), '인'의 실천 방법 (마음의 충실함인 '충', 자신을 아끼는 마음으로 상대방을 대하는 것인 '서')
  • 예(禮) : '인'을 올바로 실현하기 위한 사회적 규범과 제도, 극기복례 (사회 규범인 예를 따름으로써 이기적인 자기 자신 극복 가능) 강조
  • 정명론 : 자신의 사회적 지위에 맞는 역할에 따라 행동해야 한다는 이론 (임금은 임금답고, 신하는 신하답고, 부모는 부모답고, 자식은 자식다워야 한다는 주장)
  • 수기이안인(修己以安人) : 먼저 자기 자신을 닦고 백성을 편안하게 할 수 있다는 것으로, 정치가가 되기 위해서는 먼저 도덕적 수양이 필요함을 강조
  • 예의 사회적 실천 강조

3. 맹자

  • 성선설 : 인간의 마음에는 본래 사단이라는 보편적인 도덕 감정이 있음 → 따라서, 인간의 본성은 본래 선함
  • 불인인지심 : 다른 사람이 고통스러워하는 것을 그냥 보고 넘어갈 수 없는 선한 마음
  • 사단 : 측은지심 (다른 사람을 불쌍히 여기는 마음), 수오지심 (자신이 옳지 못한 행동을 했을 때 부끄러워하고, 타인이 옳지 못한 행동을 했을 때 미워하는 마음), 사양지심 (양보하고 겸손한 마음), 시비지심 (옳고 그름을 가릴 수 있는 마음)
  • 양지와 양능 : 양지는 선천적인 도덕 판단 능력, 양능은 선천적인 도덕 실천 능력
  • 호연지기 : 호랑이의 기상과 같은 인간의 기상, 지극히 크고 올곧은 도덕적 기개
  • 구체적인 수양의 방법 : 구방심 (잃어버린 선한 마음인 사단을 되찾는 것), 집의 (도덕적으로 옳은 행동을 꾸준히 하는 것으로, 집의를 통해 호연지기 기를 수 있음), 과욕 (욕심을 적게 가지는 것)
  • 맹자의 이상적 인간 : 대장부 (호연지기를 갖춘 사람)
  • 정치 방법 : 왕도 정치 (왕은 자신의 도덕성을 바탕으로 정치해야 한다는 주장, 왕이 힘으로써 정치하는 패도 정치에 반대), 역성혁명 (정명론에 근거해 왕이 자신의 역할을 다하지 못했으면 신하와 백성이 혁명을 통해 왕을 교체할 수 있다는 주장), 항산과 항심 강조 (도덕적인 마음인 항심은 경제적인 수단인 항산이 있을 때 실현 가능)

4. 순자

  • 성악설 : 인간은 본래 개인적이고 이기적인 욕구를 가진 존재 → 따라서, 인간의 본성은 본래 악하지만 사회적 교화를 통해 선하게 될 수 있음
  • 천인분이 : 인간과 하늘의 역할을 다르다, 인간은 하늘이 만들어낸 자연물을 이용하여 문명을 이룩하는 존재
  • 화성기위 : 인간의 악한 본성은 '성인(이상적 경지에 이른 인간)'이 만든 사회적 규범인 예를 따름으로써 교화할 수 있다는 이론
  • 정치 방법 : 예치 (왕은 자신의 도덕성인 예로써 백성들을 다스려야 한다는 것, 사람들이 지닌 도덕성의 정도에 따라 사회적 지위를 나누고 능력에 따라 관직을 맡기는 것)

똑스 활용하기

개념 정리, 수행평가, 그리고 문제 분석까지 제공하는 학습 솔루션을 확인해보세요!

앱으로 공부해볼래?

1200+ 이상의 학습 콘텐츠를 내 손안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