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 정식 서비스를 활용하세요!
교과서 요약, 용어사전, 5분 탐구, 그리고 수행평가 및 문제 분석까지!
바로가기
개념정리, 문제 분석, 그리고 논술까지 제공하는 똑똑의 AI학습 솔루션 체험하기!
서비스 보러가기
교육 콘텐츠
왜 똑똑?
콘텐츠 로드맵
핵심 기능
학습 로드맵
똑똑 과목
중등사회
NEW
고등사회
중등역사
고등역사
중등윤리
고등윤리
대표 콘텐츠 유형
개념 정리
문제 풀이
입시
교과 콘텐츠
시사 콘텐츠
커뮤니티
문의/제휴
학습하기
생활과 윤리
교정적 정의와 윤리적 쟁점
3-2-3
사회와 윤리
사회 정의와 윤리
1분 요약
교정적 정의의 의미와 관점
1️. 교정적 정의
의미
: 부당한 피해 행위에 대한 불균형과 부정의를 법 집행을 통한 처벌로 바로잡는 것
역할
: 시민의 권리 보장, 사회 안전 확보, 보상과 처벌의 정당화
2️. 응보주의적 관점
대표적 사상가
: 칸트
입장
: 처벌의 본질은 범죄 행위에 대한 응당한 보복과 정당한 대가 즉, 범죄 행위에 상응하는 만큼의 응분의 처벌을 받아야 함
한계
: 범죄 예방과 범죄자 자체에 대해서는 무관심한 태도를 보임
3. 공리주의적 관점
대표적 사상가
: 벤담
입장
: 처벌의 고통은 사회 전체 행복의 증진을 위해 존재할 수 밖에 없는 불가피한 것(필요악)임. 단, 처벌을 통해 범죄를 예방하고, 사회 전체의 행복을 증진하는 효과를 가져와야 함
처벌로 인한 손실이 위법 행위의 이익보다 클 때 가능함
한계
: 범죄 예방 효과 증명이 어렵고, 사회적 이익 증진을 위해 인간의 존엄성을 훼손할 수 있음
사형 제도의 윤리적 쟁점
1. 사형 제도를 바라보는 관점
응보주의적 관점
(칸트)
: 살인자에 대한 사형 이외의 형벌은 정의에 부합하지 않음 → 사형은 범죄자의 고통 받는 인격을 해방시키는 것이며 인간 존엄성을 실현하는 것임
사회계약론적 관점 (루소)
: 계약자는 자신의 생명을 보정하기 위해 살인자에 대한 사형에 동의함 → 살인자 역시 자신이 죽임을 당해도 좋다고 동의한 것이라고 봄
공리주의 & 사회계약론적 관점(베카리아)
: 사형보다 종신 노역형이 범죄 억제 효과가 더 크므로 사형에 반대, 사회 계약 시 자신의 생명을 양도한다는 약속을 한 적 없으므로 사형에 동의할 수 없음
특수 예방주의 관점
: 사형 제도는 범죄자의 생명을 박탈하여 처벌의 목적인 범죄자를 교화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봄
사형 제도 찬반 논쟁
1. 사형 제도의 찬성 논거
국민의 자유, 재산, 생명, 안전을 지키기 위한 사회 방어 수단이 될 수 있음
범죄 예방 효과가 큼
범죄에 대한 비례성의 원칙에 따라 과도한 형벌이 아님
과학 수사와 제도 보완을 통해 오판 가능성을 줄여나가고 있음
2. 사형 제도의 반대 논거
인간의 존엄성과 생명권을 침해하는 비인도적 형벌에 불과함
범죄 예방 효과가 없으며, 범죄자 교화라는 형벌의 목적에도 부적합함
정치적 정적을 제거하는 수단으로 악용될 수 있음
지속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완전히 오판 가능성을 배제할 순 없음
생활과 윤리
개념 정리, 수행평가, 그리고 문제 분석까지 제공하는 똑똑 학습 솔루션을 확인해보세요!
똑스 활용하기
개념 정리, 수행평가, 그리고 문제 분석까지 제공하는 학습 솔루션을 확인해보세요!
바로가기
앱으로 공부해볼래?
1200+ 이상의 학습 콘텐츠를 내 손안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