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민 운동의 전개

1. 농민 운동 발생 요인

  • 일제의 토지 조사 사업 진행 :  농민의 토지 강탈 -> 농지를 빼앗긴 농민은 소작농으로 전락 & 국외로 이주
  • 1920년 산미 증식 계획 : 농민의 몰락 가속화 -> 소작민을 중심으로 조합 결성 -> 소작 쟁의 전개
  • 사회주의 유입 : 농민 운동을 옹호하는 단체 결성  & 농민 운동에 대한 지원

2. 1920년대 농민 운동(소작 쟁의)의 양상

  • 소작료 인하, 지세 부담 전가 반대, 소작권 이동 반대 등 생존권 요구의 형태
  • 발생 지역 : 지주제가 상대적으로 많이 발달한 전라도, 경상도, 황해도, 평안도, 전국 각지의 동양 척식 주식회사 농장, 일본인 농장
  • 암태도 소작 쟁의(1923) : 암태 소작인회는 일본 경찰의 탄압에도 불구하고 투쟁하여 소작료를 낮춤
  • 1920년대 중반 이후 농민 운동의 발전 : 농민 의식의 향상 & 자작농의 가입률 증가 -> 소작민 조합의 농민 조합으로 재편 -> 1927년 조선 농민 총동맹의 지원 -> 농민 운동의 규모 확대

3. 1930년대 농민 운동의 양상

  • 사회주의와의 연계 & 비합법적 단체인 혁명적 농민 조합을 중심으로 농민 운동 전개
  • 1930년대 중반 : 일제의 관공서 습격
  • 중일 전쟁 이후 일제에 의해 농민운동(소작 쟁의) 봉쇄

노동 운동의 전개

1. 노동 운동의 발생 요인

  • 일제 강점기 식민지 공업화 전략 -> 공장 수 증가 -> 노동자 수 증가
  • 한국인 노동자에 대한 차별 : 열약한 노동 환경과 장시간 노동에 처함 & 일본인에 비해 낮은 임금, 차별 대우 ->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노동 운동 전개
  • 사회주의의 보급 : 다양한 노동 단체 결성 -> 노동 운동 지원

2. 1920년대 노동 운동

  • 생존권 투쟁의 성격이 강한 노동운동 : 노동자의 삶과 노동 조건 개선을 위한 성격 강화
  • 1921년 부산 부두 노동자 파업 -> 1922년 경성 인력거꾼 파업 -> 경헝 양화 직공의 동맹 휴업 -> 경성 고무 여공의 파업 전개

3. 1920년대 중반 이후의 노동 운동

  • 노동자수 증가 -> 노동 운동 참가자 증가 -> 노동 운동의 전국적 확산
  • 126년 목포 제유 공장 노동자 파업, 1927년 영흥 흑연 광산 노동자 파업

4. 1929년 원산 총파업

  • 노동운동의 절정
  • 1928년 석유 회사인 라이징 선에서 발생
  • 이후 1929년 원산 지역 노동자 파업으로 이어짐
  • 파업 기간 중 국외 노동자 및 국내 다른 지역의 노동자가 격려와 지지를 보내는 등의 지원을 보냄
  • 일제의 제재 : 경찰과 군대, 깡패를 동원하여 노동 운동 탄압 -> 원산 노동자 총파업으 실패

5. 1930년대 노동 운동

  • 비합법적 단체인 혁명적 노동조합의 형태로 전개 : 일제의 통제가 강화되자 전개
  • 중일 전쟁 이후 일제의 탄압으로 노동 운동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