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림 세력의 대두와 정치 운영의 변화

한국사

사림 세력의 대두와 정치 운영의 변화

사림 세력의 대두와 정치 운영의 변화

1️. 사림, 새로운 정치 세력의 등장

  • 사림 : 신진 사대부 중조선 건국 이후 정치에 참여하지 않고, 지방에서 성리학 연구 및 제사 양성에 힘쓴 세력 → 왕도 정치 추구, 언론 활동 중시, 향촌 자치 주장
  • 성종 : 훈구 세력(세조가 왕위에 오르는 데 공을 세운 세력) 견제를 위해 사림을 3사의 언론 기관에 등용
  • 사림과 훈구 세력 간의 대립 발생

2️. 사화의 발생

  • 사화 : 사림 세력이 반대파에 의해 탄압을 받은 사건
  • 성종 사후 연산군 즉위하자, 훈구 세력이 사림 세력을 향해 공격하기 시작(연산군 동조) → 두 차례 사화 발생
  • 중종 반정으로 즉위한 중종이 훈구 세력 견제를 위해 조광조 등 사림 세력 다시 등용 → 조광조에 유교적 도덕 정치 시행의 주장이 나타나면서 급진적 개혁 추진(현량과 실시, 자격 없는 사람의 공훈 삭제) → 사화 발생
  • 명종 대에도 사회가 발생하였으나, 사림 세력은 서원 및 향약을 바탕으로 향촌 사회에서의 영향력을 확대 → 선조 대 정국 주도

3️. 붕당의 등장과 공론 정치

  • 이조 전랑(척신 정치 잔재 청산과 관리 인사권 담당) 임명 문제를 둘러싸고 사림 사이의 대립 발생
  • 동인(척신 배제 주장)과 서인(척신 포용 주장)으로 나뉘며 붕당 출현 → 동인은 다시 북인과 남인으로 구분
  • 광해군 대 서인과 남인을 배제 하고 북인이 권력 독점 → 인조반정 이후 서인 정국 주도(단, 남인과 공존하며 공론에 의한 정치 추구) → 그러나 현종 대 발생한 두 차례 예송 논쟁으로 서인과 남인의 대립 심화

4️. 붕당 정치의 변질과 탕평 정치의 시작

  • 속종 대 서인과 남인이 번걸아 권력을 장악하는 환국으로 상대 붕당에 대한 탄압 및 보복 반복
  • 영조와 정조 대 본격적인 탕평책 실시 → 영조(탕평론에 동의하는 입장인 탕평파를 중심으로 정국 운영, 붕당의 근원인 서원 정리), 정조(노론, 소론, 남인 고루 등용, 규장각 설치, 관리 재교육을 위한 초계 문신제 실시)
  • 단, 영조와 정종 대 탕평책은 강한 왕권에 기초해 붕당 간 정쟁을 억누른 데 불과 → 영조 사후 외척 가문인 안동 김씨 등이 권력을 독점하는 세도 정치 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