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생과 토양 및 인간과 자연의 지속 가능성

한국지리

식생과 토양 및 인간과 자연의 지속 가능성

식생 특색과 분포

  • 식생 : 지표 위의 식물 집단을 의미하며 주로 기온의 영향을 받음. 식생의 수평 분포는 위도, 수직 분포는 해발 고도와 관련
  • 수평 분포 : 남쪽에서 북쪽으로 올라가며 난대림-온대림-냉대림의 순서로 나타남
  • 수직 분포 : 제주도의 한라산에서 가장 잘 확인할 수 있음. 저지대에서 고지대로 가며 난대림, 온대림, 냉대림, 관목대, 고산 식물대가 순서대로 나타남

토양 특색과 분포

  • 토양 : 암석이 풍화와 함께 생물 작용을 받아 입자가 작은 흙으로 변한 것
  • 성대 토양 : 기후와 식생 특성을 반영하는 토양. 온대림 지역의 갈색 삼림토, 냉대림 지역의 회백색토가 주를 이룸
  • 간대토양 : 기반암 특성을 반영한 토양. 붉은빛의 석회암 풍화토, 흑갈색의 현무암 풍화토가 대표적
  • 생성 시기가 짧은 미성숙토는 충적토와 염류토가 대표적임
  • 하천 주변에 분포하는 충적토는 하천에 운반된 물질이 퇴적된 토양으로 비옥한 것이 특징
  • 간척지에 주로 분포하는 염류토는 염분을 제거할 경우 농사가 가능함

식생과 토양 관리

  • 건설이나 경작지 확대 등 인간 활동으로 인해 토양이 침식되고식생은 많이 파괴됐지만, 최근 회복을 위한 노력이 활발
  • 생태계가 잘 보존된 곳을 국립공원으로 정하거나, 나무 심기와 숲 가꾸기 사업(조림 사업)으로 임목 축적량을 늘리고 있음
  • 토양 유실을 막기 위해 계단식 경작이나 등고선식 경작을 진행하기도 함
  • 토양 보존을 위해서 퇴비 및 유기질 비료 사용, 객토 사업 등을 추진함

인간과 공존하는 자연

  • 우리 조상들은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추구
  • 마을 초입에 마을숲을 만들거나 생활 하수를 정화하는 연못을 두기도 했음
  • 정부는 산지와 숲에 자연 휴식년제를 도입했고, 환경 영향 평가 제도를 시행하고 있음
  • 마을숲 : 인공적으로 조성된 숲으로, 바람을 막고 홍수를 방지하며 여름철 더위를 식혀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