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정리, 문제 분석, 그리고 논술까지 제공하는 똑스의 AI학습 솔루션 체험하기!
서비스 보러가기
교육 콘텐츠
왜 똑똑?
콘텐츠 로드맵
핵심 기능
학습 로드맵
똑똑 과목
중등사회
NEW
고등사회
중등역사
고등역사
중등윤리
고등윤리
대표 콘텐츠 유형
개념 정리
문제 풀이
입시
소개
콘텐츠
시사 콘텐츠
뉴스레터
단체 구독
가격
문의
학습하기
다른 과목 보기
역사2
다른 요약 보기
1
선사 문화의 전개
2
청동기 문화와 고조선의 성장
3
여러 나라의 성장
4
삼국과 가야의 성장
5
삼국의 경쟁과 발전
6
삼국의 종교와 학문
7
삼국의 고분 문화와 의식주
8
삼국 및 가야의 문화 교류
9
고구려와 수·당 전쟁
10
삼국 통일 전쟁
11
신라의 삼국 통일과 발해의 성립
12
통일 신라의 통치 제도
13
발해의 발전
14
신라 사회의 동요
15
후삼국의 성립
16
통일 신라와 발해의 문화
17
통일 신라와 발해의 대외 교류
18
고려의 후삼국 통일
19
통치 체제의 정비
20
무신 정권의 성립과 변천
21
고려 전기의 대외 관계
22
고려의 대몽 항쟁
23
원의 간섭과 공민왕의 개혁
24
새로운 정치 세력의 성장
25
고려 사회의 모습
26
고려의 사상
27
고려의 불교문화와 예술
28
새로운 나라, 조선
29
통치 체제의 정비
30
대외 관계와 외교 정책
31
사림의 성장과 붕당의 등장
32
성리학의 확산과 사회 변화
33
조선 전기의 문화
34
과학 기술과 예술의 발달
35
왜란의 발발과 극복
36
동아시아의 정세 변화
37
호란의 발발과 영향
38
제도의 개편과 붕당 정치의 전개
39
탕평 정치의 시행
42
세도 정치의 전개
43
농민 봉기의 발생
44
상품 화폐 경제의 발달
45
생활 문화의 변화
46
사회 구조의 변화
47
서양 문물의 수용과 세계관의 변화
48
실학의 대두
49
문화의 새로운 경향
50
국민 국가 수립을 위한 다양한 노력
51
독립을 위한 다양한 민족 운동
52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
53
헌법 제정과 4·19 혁명
54
민주주의의 시련과 민주화 운동
55
민주주의의 발전
56
개항 이후 경제 변화
57
광복 이후 경제 성장
58
노동 운동과 대중문화
59
분단과 6·25 전쟁
60
통일을 위한 노력
역사2
통일을 위한 노력
6-4-2
근·현대 사회의 전개
평화 통일을 위한 노력
평화 통일을 위한 남북의 노력
1️. 남북 대화의 시작
1950년대까지는 군사적 긴장 지속
1960년대 4.19 혁명 이후 대학생 및 진보 세력을 중심으로 일어난 통일 운동 역시 실패 / 이후 1960년대 후반 북한의 무력 도발
닉슨 독트린(1969) 이후 1970년대 들어 미-중 간 긴장 완화 -> 6·25 전쟁 지속된 남북 간 긴장 관계 변화
남북 적십자 회담(1971)
: 이산가족 문제 해결 위한 교류
7·4 남북 공동 성명 발표(1972)
: 서울과 평양에서 동시에 자주, 평화, 민족적 대단결의 통일 원칙 발표 -> 남북한 정부가 최초로합의한 통일 방안
이후 1985년 분단 이후 처음으로 남북한 이산가족 상봉, 예술 공연단 상호 교환 추진
2. 남북 교류의 진전
1980년대 후반 ~ 1990년대 초반 사회주의 정권 붕괴 및 냉전 체제의 종식 -> 남북 관계의 진전
남한은 소련, 동유럽, 중국 등 사회주의 국가와 국교를 맺는 한편 남북 대화를 위한 노력 추진
1991년 노태우 정부 들어 남북한 유엔(UN) 동시 가입을 시작으로 같은 해 남북 기본 합의서(남북 사이의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 협력에 관한 합의서) 채택
이후 1992년 북한 핵무기 개발 논란 -> 남북 관계는 위기를 맞았지만, 민간 기업 차원의 교류 지속
김영삼 정부에서는 화해, 협력 - 남북 연합 - 통일 국가에 이르는 통일 방안 제시, 식량난 해소를 위한 지원
3️. 남북 정상 회담과 관계 변화
1990년 후반 김대중 정부 출범 이후 '햇볕 정책' 추진 -> 대북화해 협력 정책에 대한 적극적 의지
이를 계기로, 1998년 금강산 관광 시작 / 2000년 평양 남북 정상 회담 개최
남북 정상 회담
: 6·15 남북 공동 선언 발표 -> 경제, 문화 등 교류와 협력 활성화 추진(ex. 개성 공단 건설, 경의선 복구) 및 이산가족 상봉 문제 합의
2000년대 중반 노무현 정부 시기에도 대북 포용 정책 기조 유지 -> 제2차 남북 정상 회담(2007) 개최, 10·4 남북 공동 선언 발표
2000년대 후반 이명박 정부 시기 북한 핵 실험 및 미사일 시험발사, 금강산 관광객 피살, 연평도 포격 사건 등 발생 -> 남북 간 긴장 고조
이후 2010년대 초반 박근혜 정부 들어 개성 공단 폐쇄 등을 계기로 관계 악화
2010년대 후반 문재인 정부 들어 남북 관계 개선 추진 -> 2018년 판문점에서의 남북 정상 회담 개최, 판문점 선언 발표, 항구적인 남북 병화 체제 구축을 위한 협력 다짐
학습 혁신의 시작
AI학습 도우미 똑스와 함께
학습 목표를 달성하세요
가입하기
지금 가입하고 모든 학습 콘텐츠 이용하기
29개 과목, 1만개 이상의 콘텐츠
가입하기
역사2
개념 정리, 수행평가, 그리고 문제 분석까지 제공하는 똑스의 AI학습 솔루션을 확인해보세요!
전문가 튜터링
24시간 전문가 풀 대기
중고 과학 과목 출시!
통합과학부터
물화생지
까지
29개 과목, 1만개 이상의 콘텐츠
9,900원에 전부 이용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