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 운동과 대중문화

1. 생활 환경의 변화

  • 산업화, 도시화 진행 -> 제조업 및 서비스 산업 등 2/3차 산업 비중 증가, 도시 일자리 증가 -> 도시 인구 증가
  • 도로 및 철도 교통 발달, 통신 기술 발달
  • 국민 교육 수준 향상, 전반적인 생활 수준 향상, 평균 수명 증가
  • 도시 문제 : 주택 부족, 각종 공해 등 환경 문제, 빈곤, 실업 등
  • 농촌 문제 : 노동력 부족, 인구 고령화, 도시와의 경제 격차 심화
  • 이에 박정희 정권에서 새마을 운동 전개 -> 농촌 생활 환경 개선, 소득 증대, 도시-농촌 간 균형 발전 추구
  • 그러나 큰 성과 X, 자유 무역 시장 개방에 따른 값싼 외국 농산물의 수입 및 노동 인구의 지속적 감소 -> 농촌 문제 심각

2. 노동 운동의 변화

  • 1960년대 이후 국가 주도의 수출 주도 산업 육성 통해 경제 급성장 -> 노동 환경 문제, 노동자 처우 문제 등장
  • 특히, 적은 임금과 긴 시간의 노동, 열악한 노동 환경 등으로 고통을 겪음
  • 1970년 서울 청계천 평화 시장 노동자 전태일 근로기준법 준수 요구, 부조리한 노동 현실 고발
  • 이를 계기로 노동 문제에 대한 관심 제고 -> 노동 조합 조직, 생존권 쟁취, 임금 인상 등 대규모 노동 운동 전개  
  • 1980년대 들어 중화학 공업 발달로 노동자 증가 -> 그러나, 여전히 노동조합을 제대로 조직할 수 없었음
  • 1987년 6월 민주 항쟁 이후 조직적인 운동을 위한 노동조합 조성 운동 본격화 -> 한국 노동조합 총연맹(한국 노총), 전국 민주 노동조합 총연맹(민주 노총) 등 조직되어 노동 운동 주도
  • 이후 외환 위기 극복 과정에서 노동자와 사용자, 정부의 대표가 모인 협의체 노사정 위원회 구성
  • 최근에는 비정규직 문제, 청년 실업 문제, 외국인 노동자 문제를 비롯해 소득 불평등 해소를 위한 노력이 요구됨

3. 대중문화의 발달

  • 경제 발전에 따른 생활 수준의 향상 -> 여가 생활 및 문화의 생산자이자 소비자로서 대중의 역할 강조
  • 1961년 국영 서울 텔레비전 방송국 개국, 이후 1980년대 컬러 TV 보급 -> 텔레비전은 대중문화 형성에 큰 역할
  • 한편, 1970년대 청년층 문화 확산되나 정부의 검열과 통제
  • 1980년대 들어 대학가 중심으로 전통 문화에 대한 관심 증가, 가요 시장 성장
  • 그와 함께, 야구를 비롯한 축구, 씨름 등의 프로 스포츠 등장
  • 또한, 국제 스포츠 행사 다수 개최 ex. 아시안 게임(1986), 서울 하계 올림픽(1988) -> 이후 2000년대 들어 더욱 증가
  • 1990년대 이후 음악 및 영화 시장의 세계화  
  • 현재는 우리 대중음악이 '케이팝'이라는 이름으로 해외에서 인기를 얻으며 국가 이미지에도 긍정적인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