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전기의 대외 관계

1️. 사대교린

  • 사대교린 : 유교정 통치 이념 기반으로 큰 국가를 섬기는 '사대' + 이웃 국가와 가깝게 지내는 '교린'
  • 큰 나라에 예물을 주는 '조공' -> 교류 통로의 역할 수행
  • 왕의 지위를 국제적으로 인정 받는 '책봉' -> 정치 안정에 기여

2. 명과 관계

  • 건국 초기 태조의 요동 정벌 추진으로 명과 대립
  • 이후 태종 들어 친선 도모, 사대 관계 확립
  • 조선의 말, 인삼 등을 조공 <-> 명의 약재, 서적 답례
  • 의의 : 명 중심의 동아시아 질서 인정 / 안정적인 교류 및 사신 왕래 -> 선진 문물 수용, 왕권 안정화, 국제적 지위 확보

3️. 여진과 관계

  • 북방 국경 지역 안정, 영토 확보 추진
  • 회유책 : 국경 지역에 무역소 설치, 교역 허용 / 관직 및 토지 하사, 귀순 장려
  • 강경책 : 세종 대 압록강(최윤덕)과 두만강(김종서) 부근 여진족 격퇴, 4군 6진 개척

4️. 일본과 관계

  • 강경책 : 세종 대 왜구 근거지인 쓰시마섬 토벌(이종무)
  • 회유책 : 쓰시마섬 토벌 이후 대마도 도주의 요청으로 부산포(동래), 제포(진해), 염포(울산) 개항, 거류 및 제한적 교역 허용 / 관직 및 토지 하사, 귀순 장려
  • 3포에 거주하는 일본인 증가 -> 조선 통제 강화 -> 반발한 일본인들이 소동을 일으키기도 함(삼포왜란)
  • 이외에도, 시암(태국) / 류큐(오키나와) / 자와(인도네시아) 등과 교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