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의 건국과 후삼국 통일

1️. 고려의 건국

  • 후고구려 세력 확장 과정에서 송악(개성) 출신의 호족 왕건은 궁예의 부하가 됨 -> 금성(나주) 지역 점령 등 공을 세우며 후고구려 최고 관직인 시중의 지위 획득
  • 한편, 궁예가 호족 탄압, 신라 왕실에 대한 강한 반감, 권위에의 집착 등의 이유로 신하들에 의해 축출 -> 왕건이 국왕으로 추대
  • 왕건은 고구려를 계승한다는 뜻으로 국호를 고려로 정하고(918), 이듬해 수도를 철원에서 송악(개성)으로 이전

2. 후삼국 통일

  • 건국 초기 고려는 신라와는 우호적 관계 유지, 후삼국의 주도권을 두고 후백제와 대립 -> 공산 전투에서 패배, 고창 전투에서 승리
  • 후백제내부 에서는 견훤-신검 간 왕위 계승 다툼 발생 -> 견훤 고려 투항, 국력이 약해진 신라 경순왕 고려에 항복(935)
  • 이후 고려는 후백제군과의 일리천 전투에서에서 승리, 후삼국 통일(936)
  • 의의 : 외세의 도움 없이 이뤄진 자주적 통일 / 지방 호족 출신, 신라의 진골 귀족 및 6두품 출신 등을 적극적으로 포용 -> 정치 참여 세력의 범위 확장 / 민족의 재통합, 고유의 민족 문화 형성의 기틀 마련

3. 태조의 정책

  • 통일 신라 말 가혹한 세금으로 민중 불안 고조 -> 태조는 세금을 줄이고 빈민 구제 등을 통해 민생 안정 추진
  • 지방의 유력 호족과 혼인 관계를 맺어 성씨, 관직, 토지 등 하사하는 우대 정책 실시
  • 동시에, 사심관 제도와 기인 제도 통해 호족 세력의 성장 견제, 지방 통치 보완
  • 옛 신라, 후백제 세력을 지배층으로 편입하고 발해 유민을 적극 받아들이는 민족 통합 정책 실시
  • 북진 정책 : 고구려 계승 의지를 내세우며 영토 회복 시도 -> 옛 고구려 수도 서경(평양)을 전진 기지로 설정, 청천강에서 영흥만까지 확장
  • 후계자들이 지켜야 할 교훈을 담은 '훈요 10조' 제정 -> 불교 장려, 유교 및 풍수지리설 존중, 중국 문화에 대한 주체적 수용 강조

4. 왕권의 안정

  • 태조 사후 혜종, 정종 재위 호족 출신 외척 간 왕위 쟁탈전 발생 -> 광종 왕권 확립과 국가 안정 목표로 정책 추진
  • 노비안검법 : 호족이 불법으로 가졌던 노비를 양인으로 해방 -> 호족 영향력 약화  
  • 과거제 : 시험을 통해 능력에 따라 관리 선발
  • 반대 세력을 과감히 숙청, 스스로를 황제라고 칭하며 '광덕' ' 준풍' 등 독자적 연호 사용 -> 왕권 강화
  • 최승로가 올린 시무 28조 반영, 유교에 입각한 통치 체제 마련
  • 불교, 토착 신앙 행사 등 억제하여 비용 부담 경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