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 신라의 발전

1️. 국왕 중심의 왕권 강화

  • 삼국 통일 이후 신라 지배층의 변화 발생
  • 김춘추(태종 무열왕) : 진골 출신이지만 통일 과정에서 외교 활동으로 공을 세움 -> 김유신의 지원을 받아 왕위에 오름
  • 이후 무열왕 직계 후손이 100여 년간 왕위 계승, 왕권 강화
  • 문무왕 : 고구려 멸망, 나당 전쟁 승리 -> 삼국 통일 완성 -> 정치적 안정, 인구 및 농업 생산량 증가 / 백성 통합 위해 옛 고구려, 백제 출신 등용
  • 신문왕 : 김흠돌의 난 계기 삼아 진골 귀족 숙청 -> 왕권 강화, 6두품 세력 성장 / 중앙 정치 기구 개편 / 국학 설립 통해 인재 양성

2. 통치 제도의 정비

  • 통일 이후 영토 확장, 인구 증가에 따라 통치 제도 정비 필요성 대두
  • 중앙 행정 : 집사부(행정 총괄, 왕명 수행) +  시중, 중시(장관 역할)
  • 귀족회의(화백 회의) 기능 축소
  • 지방 행정 : 전국 9주로 구분, 그 아래 군과 현을 두어 지방관 파견, 말단 행정 구역 촌에는 토착 세력인 촌주 임명
  • 5소경 : 수도 금성(경주)의 지리적 약점(한반도 동남쪽에 편중)을 보완
  • 군사 제도 : 중앙군 -> 9서당, 여러 유민과 말갈인 포함 / 지방군 -> 10정, 각 주마다 1개의 정 배치, 넓은 면적의 국경 지역(한주)에만 2개의 정 배치
  • 토지 제도 : 신문왕 때 귀족의 경제적 기반 축소 목적으로 녹읍(귀족 대상) 폐지, 관료전(관리 대상) 지급 -> 이후 8세기 중반 경덕왕 때 녹읍 부활 / 성덕왕 때 정전 지급(백성 대상), 국가 재정 확충  
  • 의의 : 삼국 통합 정책의 기조를 유지 -> 옛 삼국을 대등하게 대우, 유민 포용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