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정리, 문제 분석, 그리고 논술까지 제공하는 똑스의 AI학습 솔루션 체험하기!
서비스 보러가기
교육 콘텐츠
왜 똑똑?
콘텐츠 로드맵
핵심 기능
학습 로드맵
똑똑 과목
중등사회
NEW
고등사회
중등역사
고등역사
중등윤리
고등윤리
대표 콘텐츠 유형
개념 정리
문제 풀이
입시
소개
콘텐츠
시사 콘텐츠
단체 구독
가격
문의
학습하기
다른 과목 보기
동아시아사
다른 요약 보기
1
동아시아와 동아시아사 학습
2
동아시아의 자연환경
3
농경과 목축
4
동아시아 역사의 시작
5
동아시아 각지의 신석기 문화
6
청동기 문화의 발전
7
국가의 성립과 발전
8
교류와 전쟁
9
인구 이동의 전개
10
지역 국가의 성장
11
조공과 책봉의 외교 형식
12
북방 민족의 성장과 국제 관계의 다원화
13
몽골 제국과 명 시기의 국제 질서
14
율령과 유교에 기초한 통치 체제
15
불교의 전파와 문화 교류
16
성리학의 성립과 확산
17
전쟁 이전의 동아시아 정세
18
17세기 전후의 동아시아 전쟁
19
국제 질서의 재편과 문물 교류
20
동아시아 각국의 교역 관계
21
유럽의 진출과 교역망의 확대
22
은 유통의 활성화
23
농업 생산력의 발달과 인구 증가
24
상업과 도시의 발달
25
서민 문화의 발달
26
새로운 학문의 발전
27
동아시아 각국의 개항
28
근대화 운동의 전개
29
국민 국가 수립을 위한 노력
30
제국주의 침략과 동아시아 질서의 재편
31
민족 운동의 발전
32
침략 전쟁의 확대
33
국제 연대의 노력
34
서양 문물의 도입
35
서양적 세계관의 전파
36
근대적 지식의 확산
37
제2차 세계 대전 전후 처리와 동아시아
38
냉전과 동아시아의 전쟁
39
동아시아의 국교 회복
40
경제 성장과 교역의 확대
41
정치와 사회의 발전
42
영토를 둘러싼 갈등
43
역사 인식을 둘러싼 갈등
44
화해와 협력을 위한 모색
동아시아사
정치와 사회의 발전
5-2-2
오늘날의 동아시아
경제 성장과 정치 발전
한국 민주화의 길
1. 4.19 혁명
한국의 민주 정치는 독재에 대한 저항과 발전의 역사
이승만 정부는 2차례의 개헌을 통해 장기 집권을 이어가고자 함
1980년 3.15 부정 선거 도모
이에 대규모 국민 항쟁인 4.19 혁명에 의해 이승만 정권은 실각함
2. 5.16 군사 쿠데타
이후 장면 정부 수립
하지만 5.16군사 정변으로 또 한번의 실각
박정희는 3선 개헌을 통해 장기 집권 시도, 이어 1972년 10월 유신 선포
유신 체제
: 모든 권력을 대통령에게 집중 시킴
이후 국민의 저항, 지배층의 분열로 인해 대통령 피살
3. 신군부 세력과 5.18민주 운동
이후 전두환을 중심으로 신군부의 재집권
5.18 민주 운동
: 광주 유혈 진압으로 수많은 시민 사망(1980)
이후 대통령 직선제 요구와 독재 타도에 대한 시민들의 열광 확대
1987년 6월 민주 항쟁을 통해 직선제를 이루어 내고 전두환 정권을 몰아냄
4. 1997년 김대중 당선
최초의 평화적 정권 교체 달성
일본, 55년 체제의 성립과 붕괴
1. 55년 체제 성립
자유 민주당과 사회당으로 이루어진 양당 체제 형성
자유 민주당(자민당)
: 보수 정당인 자유당과 민주당이 합당하여 만든 정당
사회당
: 일본 진보 정당
양당제 아래 자민당의 장기 집권
1970년 석유 파동, 록히드 사건 등의 부패 문제로 인해 자민당의 위기가 수차례 있었지만 여전히 다수당의 위치를 점유 하고 있음 -> 1980년까지 이어짐
2. 55년 체제 붕괴
1990년대 일본 경제의 불황과 자민당 의원의 부패 사건이 대두되자 선거에서 자민당은 과반수 획득에 실패함 -> 55년 체제의 붕괴를 의미
이어 비자민당 연립 정부가 수립됨
하지만 얼마 가지 않아 연립정부 실패 -> 자민당을 중심으로 형성된 연립 정부 구성
2009년 민주당이 잠시 정권을 잡았으나, 2012년 이후 자민당이 집권 중
타이완, 1당 지배를 넘어 양당 체제로
반 세기 동안 이어진 1당 지배
국공내전 후 패배한 장제스의 국민당은 타이완에 자리를 잡은 이후 1987년까지 계엄령을 유지, 정치 권력을 독점하며, 국민의 표현의 자유를 억압
이후 국민에 의한 민주화 요구 -> 복수 정당제 도입, 지방 선거 시행, 총통 직선제 개헌 등의 제도적 민주화의 공고화
2000년 민주 진보당(민진당) 천수이볜이 총통으로 선출되어 최초의 정권 교체 창출 -> 민진당과 국민당의 양당 체제 수립
중국, 혁명에서 개방, 개혁으로
1. 마오쩌둥 시기
국공 내전 후, 중국을 장악한 공산당은 국가의 정식 명칭을 '중화 인민 공화국'으로 변화
이후 중국 권력을 장악한 공산당과 마오쩌둥은 대약진 운동 전개
하지만 대약진 운동의 실패로 실각 위기에 처한 공산당의 마오쩌둥은 자본주의 사상과 문화에 대한 투쟁을 주장하며, 홍위병을 조직
홍위병
: 중국 공산당 간부를 공개 심판하며, 내부의 반대파를 제거 -> 내, 외부적 갈등과 저항을 초래하여 전국에 혼란 가중 -> 이에 농촌으로 보내 질서 회복
2. 덩샤오핑 시기
개혁, 개방 정책 추진
정치 체제의 개혁 요구로까지 이어짐
톈안먼 사건
: 1989년 정치 체제의 민주화를 요구하는 대규모 시위가 발생
3. 이후의 중국
소수 민족 문제
: 티베트족, 위구르족 독립 요구
경제 성장의 가속화를 통한 발전
애국주의 교육을 통한 국민 결집 시도
북한, 지속과 변화
조선 노동당의 1당 지배 체제
주체 사상을 유일 노선으로 삼음
6.25 전쟁 후 중소분쟁, 반대파 숙청 작업을 토해 김일성 독재 체제 강화 -> 1972년
주석제를 명시한 사회주의 헌법 제정
1990년대 공산권의 붕괴 이후 경제 사정 급속히 악화 -> 이에 부분적 개방 정책 채택
김일성 사후 김정일 승계
: 외교와 기술 관료를 중심으로 변화를 꾀함, 미국과의 대결 의식으로 인해 핵무기 개발 추진 -> 국제적 고립 심화
김정일 사후 김정은 승계
: 김씨 가문의 3대째 세습
학습 혁신의 시작
AI학습 도우미 똑스와 함께
학습 목표를 달성하세요
가입하기
지금 가입하고 모든 학습 콘텐츠 이용하기
29개 과목, 1만개 이상의 콘텐츠
가입하기
동아시아사
개념 정리, 수행평가, 그리고 문제 분석까지 제공하는 똑스의 AI학습 솔루션을 확인해보세요!
전문가 튜터링
24시간 전문가 풀 대기
중고 과학 과목 출시!
통합과학부터
물화생지
까지
29개 과목, 1만개 이상의 콘텐츠
9,900원에 전부 이용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