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정리, 문제 분석, 그리고 논술까지 제공하는 똑스의 AI학습 솔루션 체험하기!
서비스 보러가기
교육 콘텐츠
왜 똑똑?
콘텐츠 로드맵
핵심 기능
학습 로드맵
똑똑 과목
중등사회
NEW
고등사회
중등역사
고등역사
중등윤리
고등윤리
대표 콘텐츠 유형
개념 정리
문제 풀이
입시
소개
콘텐츠
시사 콘텐츠
단체 구독
가격
문의
학습하기
다른 과목 보기
동아시아사
다른 요약 보기
1
동아시아와 동아시아사 학습
2
동아시아의 자연환경
3
농경과 목축
4
동아시아 역사의 시작
5
동아시아 각지의 신석기 문화
6
청동기 문화의 발전
7
국가의 성립과 발전
8
교류와 전쟁
9
인구 이동의 전개
10
지역 국가의 성장
11
조공과 책봉의 외교 형식
12
북방 민족의 성장과 국제 관계의 다원화
13
몽골 제국과 명 시기의 국제 질서
14
율령과 유교에 기초한 통치 체제
15
불교의 전파와 문화 교류
16
성리학의 성립과 확산
17
전쟁 이전의 동아시아 정세
18
17세기 전후의 동아시아 전쟁
19
국제 질서의 재편과 문물 교류
20
동아시아 각국의 교역 관계
21
유럽의 진출과 교역망의 확대
22
은 유통의 활성화
23
농업 생산력의 발달과 인구 증가
24
상업과 도시의 발달
25
서민 문화의 발달
26
새로운 학문의 발전
27
동아시아 각국의 개항
28
근대화 운동의 전개
29
국민 국가 수립을 위한 노력
30
제국주의 침략과 동아시아 질서의 재편
31
민족 운동의 발전
32
침략 전쟁의 확대
33
국제 연대의 노력
34
서양 문물의 도입
35
서양적 세계관의 전파
36
근대적 지식의 확산
37
제2차 세계 대전 전후 처리와 동아시아
38
냉전과 동아시아의 전쟁
39
동아시아의 국교 회복
40
경제 성장과 교역의 확대
41
정치와 사회의 발전
42
영토를 둘러싼 갈등
43
역사 인식을 둘러싼 갈등
44
화해와 협력을 위한 모색
동아시아사
경제 성장과 교역의 확대
5-2-1
오늘날의 동아시아
경제 성장과 정치 발전
일본의 고도성장
제2차 세계 대전의 패배로 극심한 경제난을 겪음
6·25 전쟁 당시 군수품 생산과 공급으로 경제 회복 시작
1950년대 중반부터 1970년대 초반 연평균 10% 이상의 고도성장을 이룩하며 세계 2위의 경제 대국이 됨
1970년대 말 두 차례에 걸쳐 석유 파동을 겪지만 기술 개발과 경영 합리화를 통해 위기를 극복
1980년대 첨단 제품의 생산 확대와 수출 증가로 최대의 경제 호황 / 미국과 무역 마찰로 엔화 인상, 국내 시장 개방 -> 경기 과열로 주가, 부동산 가격이 폭등해 거품 경제 형성
1990년대 주가, 부동산 가격의 폭락으로 장기 불황이 시작되고 실업률 증가, 사회 불안 등의 문제가 계속됨
한국과 타이완의 경제 발전
1. 한국의 경제 발전
남북 분단, 6·25 전쟁으로 경제난을 겪음
1950년대 미국의 물자 원조를 바탕으로 소비재 공업이 자리 잡음
1960년대 박정희 정부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수립(1962) -> 외국의 자본과 기술 + 국내의 값싼 노동력 통해 수출 주도형 경제 정책 추진, 연 10% 이상의 경제 성장 및 수출 증가
1970년대 철강, 조선, 기계 등의 중화학 공업이 발전하며 산업 구조가 고도화됨
1980년대 저유가, 저달러, 저금리라는 3저 호황에 힘입어 경제 성장이 가속화됨 → 타이완, 싱가포르, 홍콩과 함께 아시아의 4대 신흥 공업국으로 성장
1990년대 1997년 외환 위기를 겪지만 외자 유치와 구조 조정으로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함
2. 타이완의 경제 발전
중소기업 중심으로 제조업, 무역, 서비스업 위주의 시장 경제 발달
전자 장비, 의류 등의 산업이 수출 주도
2000년대 들어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하는 등 경제 침체를 겪었으나 점차 안정세를 찾아감
중국의 사회주의 경제와 개혁·개방
1. 사회주의 경제
건국 후 지주의 토지를 농민에게 나눠주는 토지 개혁을 시행하고 주요 기업을 국영화함
1950년대 들어 사회주의 계획 경제 정책을 본격 추진
제1차 5개년 계획
: 중공업 중심의 공업화 추진, 농업 생산 합작사 등의 집단화를 진행해 농민 대부분을 합작사에 가입시킴
2. 대약진 운동
1950년대 말 농업과 공업 생산의 대규모 증산을 목표로 편 경제 성장 정책
농촌에 인민공사를 조직해 농업을 집단화하고 철강 생산에 노동력을 동원함
실패
: 집단화에 따른 농민들의 불만과 의욕 감퇴, 기술력 부족, 자연재해에 따른 생산력 저하와 대기근
류사오치 등이 정책 완화를 요구하나 마오쩌둥과 추동자에 의해 정계에서 쫓겨남
3. 개혁·개방
마우쩌둥 사후 정권을 장악한 덩샤오핑은 1978년 개혁, 개방 정책을 추진함
목표
: 농업, 공업, 국방, 과학 기술 4개 부문의 현대화
시장 경제 체제 도입
: 농촌에서 인민 공사 해체, 가죽 농업으로 전환, 농산물 가격을 시장에 맡김, 사기업 설립 허용, 국영 기업의 민간 매각
대외 개방 정책 추진
: 경제 특구 설치, 외국 자본 기술 도입, 수출 확대
2001년 세계 무역 기구(WTO) 가입, 2010년 세계 2위의 경제 대국 도약
북한과 베트남의 경제
1. 북한
1950년대 사유제의 부정, 협동 농장, 국영 기업을 중심으로 사회주의 경제 체제 확립 / 중공업 중심의 경제 발전 추진
1970년대 경직된 경제 체제의 모순, 소련 원조 중단, 과도한 군사비 지출 -> 경제 침체의 시작
1980년대 중반 서구의 자본과 기술을 도입하기 위한 투자법인 합영법 제정, 외국 자본 유치 시도 -> 동유럽 사회주의 정권 몰락 여파로 실패
1990년대 마이너스 성장 기록, 식량난으로 극심한 어려움, 후반 들어 금강산 관광 시작
2000년대 들어 개성 공단 사업 -> 남한과의 경제 교류 시작 / 다만 적극적인 개혁, 개방 정책을 채택하지는 않음
2. 베트남
1975년 통일 ->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수립, 강력한 사회주의 정책 시행
통일 이후 캄보디아 내전에 개입, 중국과의 전쟁, 사회 주의 정책의 실패 -> 경제악화와 식량난
도미어이 정책(1986)
: 개혁 개방 표방, 시장 경제 체제의 일부 시행 -> 개인 농가에 농지 대여, 농업세 감세, 농업 부문 집중 투자
이외에도, 자본주의 국가와의 교역 통해 외국 자본 적극 유치 / 중국과의 전쟁 종결 및 관계 정상화 시도
1990년 들어서는 한국, 미국과 수교
동아시아 역내 교역과 문화 교류의 확대
1. 냉전 체제
미국을 중심으로 형성
한국 일본 타이완이 연결된 구조
2. 냉전의 개혁 개방 정책추진 이후
한국, 중국, 일본 간의 교역 규모 급증
일본은 중국의 주요 투자국
한국 역시 중국과 국교 수립 이후 적극적인 자본 투자와 수출입 시행(2015년 한, 중 FTA 체결, 아시아 인프라 투자 은행 창립 기여)
타이완 기업의 대중국 투자 증가
3. 동아시아의 세계적 비중 부상
중국 일본 각각 국내 총생산량 2위, 3위 / 한국은 10위 차지
학습 혁신의 시작
AI학습 도우미 똑스와 함께
학습 목표를 달성하세요
가입하기
지금 가입하고 모든 학습 콘텐츠 이용하기
29개 과목, 1만개 이상의 콘텐츠
가입하기
동아시아사
개념 정리, 수행평가, 그리고 문제 분석까지 제공하는 똑스의 AI학습 솔루션을 확인해보세요!
전문가 튜터링
24시간 전문가 풀 대기
중고 과학 과목 출시!
통합과학부터
물화생지
까지
29개 과목, 1만개 이상의 콘텐츠
9,900원에 전부 이용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