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정리, 문제 분석, 그리고 논술까지 제공하는 똑스의 AI학습 솔루션 체험하기!
서비스 보러가기
교육 콘텐츠
왜 똑똑?
콘텐츠 로드맵
핵심 기능
학습 로드맵
똑똑 과목
중등사회
NEW
고등사회
중등역사
고등역사
중등윤리
고등윤리
대표 콘텐츠 유형
개념 정리
문제 풀이
입시
소개
콘텐츠
시사 콘텐츠
뉴스레터
단체 구독
가격
문의
학습하기
다른 과목 보기
동아시아사
다른 요약 보기
1
동아시아와 동아시아사 학습
2
동아시아의 자연환경
3
농경과 목축
4
동아시아 역사의 시작
5
동아시아 각지의 신석기 문화
6
청동기 문화의 발전
7
국가의 성립과 발전
8
교류와 전쟁
9
인구 이동의 전개
10
지역 국가의 성장
11
조공과 책봉의 외교 형식
12
북방 민족의 성장과 국제 관계의 다원화
13
몽골 제국과 명 시기의 국제 질서
14
율령과 유교에 기초한 통치 체제
15
불교의 전파와 문화 교류
16
성리학의 성립과 확산
17
전쟁 이전의 동아시아 정세
18
17세기 전후의 동아시아 전쟁
19
국제 질서의 재편과 문물 교류
20
동아시아 각국의 교역 관계
21
유럽의 진출과 교역망의 확대
22
은 유통의 활성화
23
농업 생산력의 발달과 인구 증가
24
상업과 도시의 발달
25
서민 문화의 발달
26
새로운 학문의 발전
27
동아시아 각국의 개항
28
근대화 운동의 전개
29
국민 국가 수립을 위한 노력
30
제국주의 침략과 동아시아 질서의 재편
31
민족 운동의 발전
32
침략 전쟁의 확대
33
국제 연대의 노력
34
서양 문물의 도입
35
서양적 세계관의 전파
36
근대적 지식의 확산
37
제2차 세계 대전 전후 처리와 동아시아
38
냉전과 동아시아의 전쟁
39
동아시아의 국교 회복
40
경제 성장과 교역의 확대
41
정치와 사회의 발전
42
영토를 둘러싼 갈등
43
역사 인식을 둘러싼 갈등
44
화해와 협력을 위한 모색
동아시아사
냉전과 동아시아의 전쟁
5-1-2
오늘날의 동아시아
제2차 세계 대전 전후 처리와 냉전 체제
국·공 내전과 중화 인민 공화국의 수립
1. 국·공 내전
냉전 체제의 형성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미국과 소련은 체제와 이념을 달리 하며 국제 사회 질서에서 충돌
각각 미국과 소련이 중심이 되어 체제와 이념을 놓고 양 축으로 대립함
중국은 일본에 대항하기 위해 힘을 합쳤던 국민당과 공산당이 전쟁이 끝나자 다시 충돌함 → 미국의 중재로 평화 협상을 시도하나 실패 → 내전 돌입(국·공 내전, 1946년 7월)
2. 중화 인민 공화국의 수립
전개
: 병력, 장비가 우세한 국민당군의 초기 우세 → 국민당군이 공산당의 근거지 옌안을 포함해 만주, 화북 주요 도시 대부분 점령 → 공산당군의 반격으로 전세 역전
공산당군은 토지 개혁을 실시해 농민의 지지를 얻은 반면 국민당군은 관료의 부패, 인플레이션 등으로 지지를 얻지 못함
결국, 공산당이 중국 본토 대부분을 장악해 중화 인민 공화국 수립(1949년 10월)
패배한 국민당 정부는 타이완으로 근거지를 옮김
이후 중국은 공산화되고 미국은 중국에 경제 봉쇄 정책을 펼치는 한편 일본의 반공 거점 역할을 강화
6·25 전쟁
1. 배경
소련이 핵 개발에 성공하고 중국에 사회주의 국가가 건설되자 북한은 무력 통일 준비가 됐다고 판단함
애치슨 라인의 발표로 한반도에 전쟁이 나도 미국이 참전할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
북한은 소련과 중국의 동의를 얻고 전쟁을 준비
2. 전개
1950년 6월 25일 새벽 북한군의 기습적인 남침으로 발발
전쟁 초기 북한군이 우세했으나 미국의 주도로 유엔군 개입하며 전세 역전 → 유엔군 38도선을 돌파해 북상 → 중국군의 참전으로 교착
양측은 완전한 승리를 거두기 어렵다고 판단해 1953년 정전 협정 체결
1954년 제네바에서 전쟁의 종식을 위한 회담이 개최되나 합의에 실패
3. 영향
미국
: 전쟁 중이던 일본과 군사 동맹을 체결(1951)하고 오키나와 미군 기지를 중심으로 군사적 반공망을 형성
일본
: 유엔군에 보급품과 장비를 공급하며 경제 호황을 누림
타이완
: 미국과 중국 대립 상황을 이용, 국민당 정부 중심으로 미국의 전면적 지지를 얻음
중국
: 참전으로 사회주의권에서 정치적 위상을 얻는 한편 국내 정치 통합의 기반을 다짐
베트남 전쟁
1. 배경
제2차 세계 대전 후 호찌민은 베트남 민주 공화국을 선포 → 이를 인정하지 않는 프랑스와의 전쟁에서 승리
제네바 회담
: 프랑스군 철수, 북위 17도선을 경계로 한 남북 분단, 통일을 위한 총선거의 2년 내 실시 등 합의(1954년 7월)
남베트남과 미국은 총선거를 거부하고 단독 선거를 치러 베트남 공화국 정부 수립
남베트남 민족 해방 전선(베트콩)이 형성되고 호찌민이 이끄는 북베트남의 베트남 민주 공화국 정부가 지원
2. 전개
1965년 미국이 통킹만 사건을 빌미로 북베트남을 폭격
이후 국제전으로 확대돼 한국은 미국의 동맹국 중 하나로 파병, 북한은 북베트남 지원
1968년 남베트남 민족 해방전선이 미군에 큰 피해를 주고자 구정(음력 1월1일)에 대공세 감행 → 실패로 그치지만 미국 내에서 미군 철수를 요구하는 반전 운동이 확산
닉슨 독트린 통해 미군 철수 방침을 밝히고 이후 파리 평화 협정을 체결해 확정
미군 철수 후 북베트남이 사이공을 점령하며 전쟁 종식(1975) →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이 통일 정부로 수립
반전 여론에 시달리던 미국은 소련을 견제하고 베트남 전쟁을 신속히 마무리하고자 중국과의 관계 개선에 나섬 → 닉슨이 중국을 방문하고 양국 간 외교 관계가 수립됨
학습 혁신의 시작
AI학습 도우미 똑스와 함께
학습 목표를 달성하세요
가입하기
지금 가입하고 모든 학습 콘텐츠 이용하기
29개 과목, 1만개 이상의 콘텐츠
가입하기
동아시아사
개념 정리, 수행평가, 그리고 문제 분석까지 제공하는 똑스의 AI학습 솔루션을 확인해보세요!
전문가 튜터링
24시간 전문가 풀 대기
중고 과학 과목 출시!
통합과학부터
물화생지
까지
29개 과목, 1만개 이상의 콘텐츠
9,900원에 전부 이용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