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정리, 문제 분석, 그리고 논술까지 제공하는 똑스의 AI학습 솔루션 체험하기!
서비스 보러가기
교육 콘텐츠
왜 똑똑?
콘텐츠 로드맵
핵심 기능
학습 로드맵
똑똑 과목
중등사회
NEW
고등사회
중등역사
고등역사
중등윤리
고등윤리
대표 콘텐츠 유형
개념 정리
문제 풀이
입시
소개
콘텐츠
시사 콘텐츠
단체 구독
가격
문의
학습하기
다른 과목 보기
동아시아사
다른 요약 보기
1
동아시아와 동아시아사 학습
2
동아시아의 자연환경
3
농경과 목축
4
동아시아 역사의 시작
5
동아시아 각지의 신석기 문화
6
청동기 문화의 발전
7
국가의 성립과 발전
8
교류와 전쟁
9
인구 이동의 전개
10
지역 국가의 성장
11
조공과 책봉의 외교 형식
12
북방 민족의 성장과 국제 관계의 다원화
13
몽골 제국과 명 시기의 국제 질서
14
율령과 유교에 기초한 통치 체제
15
불교의 전파와 문화 교류
16
성리학의 성립과 확산
17
전쟁 이전의 동아시아 정세
18
17세기 전후의 동아시아 전쟁
19
국제 질서의 재편과 문물 교류
20
동아시아 각국의 교역 관계
21
유럽의 진출과 교역망의 확대
22
은 유통의 활성화
23
농업 생산력의 발달과 인구 증가
24
상업과 도시의 발달
25
서민 문화의 발달
26
새로운 학문의 발전
27
동아시아 각국의 개항
28
근대화 운동의 전개
29
국민 국가 수립을 위한 노력
30
제국주의 침략과 동아시아 질서의 재편
31
민족 운동의 발전
32
침략 전쟁의 확대
33
국제 연대의 노력
34
서양 문물의 도입
35
서양적 세계관의 전파
36
근대적 지식의 확산
37
제2차 세계 대전 전후 처리와 동아시아
38
냉전과 동아시아의 전쟁
39
동아시아의 국교 회복
40
경제 성장과 교역의 확대
41
정치와 사회의 발전
42
영토를 둘러싼 갈등
43
역사 인식을 둘러싼 갈등
44
화해와 협력을 위한 모색
동아시아사
제2차 세계 대전 전후 처리와 동아시아
5-1-1
오늘날의 동아시아
제2차 세계 대전 전후 처리와 냉전 체제
연합국의 전후 처리 구상
1. 카이로 회담
제2차 세계 대전의 우위를 차지한 연합국이 전후 처리를 논의하기 위한 국제 회담으로 카이로 회담 개최, 카이로 선언 발표(1943)
일본의 무조건 항복, 일본 식민지의 독립과 점령지 반환을 요구함
한국의 독립, 만주·타이완의 반환 등이 약속됨
2. 얄타 회담
승리를 굳힌 연합국은 미국, 영국, 소련이 얄타 회담 개최(1945)
유럽 및 동아시아에서의 전쟁과 전후 처리에 관한 주요 사항 합의 및 소련의 대일전 참전에 관한 비밀 협정 체결
3. 포츠담 회담
독일 항복 후 포츠담 회담 개최, 포츠담 선언 발표
카이로 선언의 실행과 일본 영토의 한정, 일본의 무조건 항복을 촉구
일본은 포츠담 선언을 거부하지만 원자 폭탄의 투하와 소련의 참전 후 8월 15일 무조건 항복
4. 국제 연합(UN)의 발족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연합국은 국제 평화와 안전 유지를 위한 국제기구의 필요성에 합의
1945년 10월 국제 연합(UN) 발족
동아시아의 전후 처리
1. 미국의 일본 제재
일본의 항복 이후 연합국은 미국을 중심으로 일본 점령
도쿄에 연합국 최고 사령부(SCAP/GHQ) 설치해 군정 실시
맥아더 중심으로 개혁 추진(군국주의자 공직 추방, 전쟁 지도부 처벌 목적으로 극동 국제 군사 재판 주도, 재벌과 지주의 경제력 축소 목적으로 재벌 및 농지 개혁 실시)
신헌법(평화 헌법) 제정
: 천황을 상징적 존재로 규정, 주권 재민 원칙에 따라 인권 보호 조항 강화, 일본의 군사력 보유 금지
2. 미국의 대일본 정책 변화
배경
: 소련과의 대립 격화, 중국과 북한의 공산화로 냉전 본격화
미국은 일본을 동아시아에서 공산 세력에 대항하는 전략적 거점으로 삼고자 함 → 일본 경제의 재건을 우선시하고 일본 내 노동 운동을 억제
공산주의자를 탄압하며 군국주의 세력의 복귀를 허용함
3. 6·25 전쟁 이후 일본
일본은 6·25 전쟁 발발 이후 경찰 예비대를 조직해 다시 군사력을 보유하게 됨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1951)을 체결하고 다음해 주권을 회복하면서 군정 종식 + 미국과 미·일 안보 조약을 체결해 군사 동맹을 맺음
4. 해방과 남북한 분단
해방 이후 일본군의 무장 해제를 이유로 38도선 이북에는 소련군, 이남에는 미군이 들어서 분단이 시작됨
1948년 유엔의 감시 아래 남한에서는 총선거가 시행 → 제헌 국회 구성 → 그해 8월 대한민국 정부 수립(초대 대통령 이승만)
북한에서는 1948년 9월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정부 수립(초대 수상 김일성)
학습 혁신의 시작
AI학습 도우미 똑스와 함께
학습 목표를 달성하세요
가입하기
지금 가입하고 모든 학습 콘텐츠 이용하기
29개 과목, 1만개 이상의 콘텐츠
가입하기
동아시아사
개념 정리, 수행평가, 그리고 문제 분석까지 제공하는 똑스의 AI학습 솔루션을 확인해보세요!
전문가 튜터링
24시간 전문가 풀 대기
중고 과학 과목 출시!
통합과학부터
물화생지
까지
29개 과목, 1만개 이상의 콘텐츠
9,900원에 전부 이용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