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정리, 문제 분석, 그리고 논술까지 제공하는 똑스의 AI학습 솔루션 체험하기!
서비스 보러가기
교육 콘텐츠
왜 똑똑?
콘텐츠 로드맵
핵심 기능
학습 로드맵
똑똑 과목
중등사회
NEW
고등사회
중등역사
고등역사
중등윤리
고등윤리
대표 콘텐츠 유형
개념 정리
문제 풀이
입시
소개
콘텐츠
시사 콘텐츠
단체 구독
가격
문의
학습하기
다른 과목 보기
동아시아사
다른 요약 보기
1
동아시아와 동아시아사 학습
2
동아시아의 자연환경
3
농경과 목축
4
동아시아 역사의 시작
5
동아시아 각지의 신석기 문화
6
청동기 문화의 발전
7
국가의 성립과 발전
8
교류와 전쟁
9
인구 이동의 전개
10
지역 국가의 성장
11
조공과 책봉의 외교 형식
12
북방 민족의 성장과 국제 관계의 다원화
13
몽골 제국과 명 시기의 국제 질서
14
율령과 유교에 기초한 통치 체제
15
불교의 전파와 문화 교류
16
성리학의 성립과 확산
17
전쟁 이전의 동아시아 정세
18
17세기 전후의 동아시아 전쟁
19
국제 질서의 재편과 문물 교류
20
동아시아 각국의 교역 관계
21
유럽의 진출과 교역망의 확대
22
은 유통의 활성화
23
농업 생산력의 발달과 인구 증가
24
상업과 도시의 발달
25
서민 문화의 발달
26
새로운 학문의 발전
27
동아시아 각국의 개항
28
근대화 운동의 전개
29
국민 국가 수립을 위한 노력
30
제국주의 침략과 동아시아 질서의 재편
31
민족 운동의 발전
32
침략 전쟁의 확대
33
국제 연대의 노력
34
서양 문물의 도입
35
서양적 세계관의 전파
36
근대적 지식의 확산
37
제2차 세계 대전 전후 처리와 동아시아
38
냉전과 동아시아의 전쟁
39
동아시아의 국교 회복
40
경제 성장과 교역의 확대
41
정치와 사회의 발전
42
영토를 둘러싼 갈등
43
역사 인식을 둘러싼 갈등
44
화해와 협력을 위한 모색
동아시아사
새로운 학문의 발전
3-3-4
동아시아의 사회 변동과 문화 교류
사회 변동과 서민 문화
명·청 대의 학문
1. 새로운 학문 경향
명 말기에 관학인 주자학과 주류 학문인 양명학에 대한 반발 움직임이 생겨남
경세치용
: 학문은 세상을 다스리는 데 쓸모 있어야 한다는 사상으로 농학, 지리학, 역법 등의 연구가 활발해지는 현상의 뒷받침이 됨
서광계
: 『농정전서』를 써 농학을 발전시키고 마테오 리치와 함께 유클리드의 『기하학 원본』을 번역함
송응성
: 산업 기술서인 『천공개물』을 써 과학 기술에 대한 지식을 정리
이시진
: 『본초강목』을 저술해 약학 지식 향상에 기여
2. 새로운 학문
고증학
: 청 대에도 실사구시적 학문 경향이 이어짐 → 유교 경전, 금석문 등을 실증적으로 연구하는 데 초점을 맞춘 고증학이 발전
고증학의 의의
: 정부 차원에서 대규모로 서적을 편찬해 고증학 발전에 기여하지만 학자들의 관심이 현실에서 멀어지는 계기가 됨
공양학
: 19세기에 닥친 대내외적인 위기에 따라 현실 사회 문제에 더 큰 관심을 기울이는 공양학이 발전
공양학의 의의
: 현실 비판과 개혁에 대한 근거가 됨
조선 후기의 학문
1. 새로운 학문 경향
왜란과 호란 등 전쟁 이후 유교 질서를 바로잡고자 예(禮)에 대한 관심이 깊어짐 -> 예학이 발달
예학이 발달함에 따라 전례를 둘러싸고 예송논쟁 발생 -> 사회 주류 학문인 주자학이 교조화되고 형식화되는 계기가 됨
2. 양명학
17세기 정제두를 중심으로 한 소론 학자들 사이에서 본격적으로 양명학을 연구
주자학의 교조화를 비판하고 실천을 강조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사회적 반향을 일으키진 못함
3. 서학
연행사를 통해 서양의 천문학, 역법, 기계 제작 등에 관한 문물과 학문이 들어옴
양반, 중인층 사이에서 천주교 신자가 생겨남
4. 실학
학문의 실용성을 강조하며 당대 사회 변동 과정에서 드러난 모순을 해결하고자 등장
중농학파
: 토지 제도 개혁 등 농촌 사회 안정을 주장
중상학파
: 상공업 진흥을 주장
북학파
: 청의 선진 문물을 수용해 받아들일 것을 주장
에도 시대의 학문
1. 주자학
에도 시대 관학으로 채택됨
무사 계급의 주종 관계를 합리화하는 근거로 이용되나 사회 주요 윤리로 자리 잡지 못함
2. 양명학
사회의 불합리한 현실과 제도를 개혁하는 실천적 의미에서 주목
막부 타도를 주장하는 무사 사이에서 지지 받음
3. 고학파
17세기 후반 주자학을 비판하며 공자와 맹자 시대의 유학으로 돌아갈 것을 주장
4. 국학파
고학파의 영향으로 18세기 후반 일본의 고전 연구 주장
고전에 깃든 일본의 정신으로 돌아갈 것을 주장하며 천황에 대한 충성 강조
5. 난학
네덜란드 상인에 개방한 나가사키를 통해 서양의 의학, 천문학, 언어학 등이 들어오며 새로운 지식 축적
학습 혁신의 시작
AI학습 도우미 똑스와 함께
학습 목표를 달성하세요
가입하기
지금 가입하고 모든 학습 콘텐츠 이용하기
29개 과목, 1만개 이상의 콘텐츠
가입하기
동아시아사
개념 정리, 수행평가, 그리고 문제 분석까지 제공하는 똑스의 AI학습 솔루션을 확인해보세요!
전문가 튜터링
24시간 전문가 풀 대기
중고 과학 과목 출시!
통합과학부터
물화생지
까지
29개 과목, 1만개 이상의 콘텐츠
9,900원에 전부 이용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