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 정식 서비스를 활용하세요!
교과서 요약, 용어사전, 5분 탐구, 그리고 수행평가 및 문제 분석까지!
바로가기
개념정리, 문제 분석, 그리고 논술까지 제공하는 똑똑의 AI학습 솔루션 체험하기!
서비스 보러가기
교육 콘텐츠
왜 똑똑?
콘텐츠 로드맵
핵심 기능
학습 로드맵
똑똑 과목
중등사회
NEW
고등사회
중등역사
고등역사
중등윤리
고등윤리
대표 콘텐츠 유형
개념 정리
문제 풀이
입시
교과 콘텐츠
시사 콘텐츠
커뮤니티
문의/제휴
학습하기
동아시아사
17세기 전후의 동아시아 전쟁
3-1-2
동아시아의 사회 변동과 문화 교류
17세기 전후의 동아시아 전쟁
1분 요약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1. 임진왜란의 시작
배경
: 일본 전국을 통일한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과도해진 군사력을 분출하고 영토 및 무역을 확대하고자 대외 진출을 꾀함
발발
: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명 침략에 협조할 것을 조선에 요구하지만 거절당하고, 이를 구실 삼아 16만 병력을 이끌고 조선을 침공함(1592)
2. 임진왜란의 전개
전쟁 초기
: 전국시대의 오랜 내전 경험과 조총을 앞세워 일본이 승승장구함
조선 선조는 의주로 피난 가고 명에 원군을 요청함
조선 각지에서 의병이 일어나고 이순신의 수군이 활약하며 전쟁은 접전의 양상을 띰
명 참전
: ‘베이징의 울타리’인 요동의 위협을 염려한 명이 참전해 임진왜란은 삼국의 국제전이 됨
3. 정유재란
조선과 명 연합군은 평양성을 탈환하지만 명군이 벽제관 전투에서 패배해 한성(한양) 수복에 실패하자 전쟁은 교착 상태에 빠짐
정유재란
: 명과 일본은 강화 협상에 나서지만 일본의 과도한 요구로 협상은 결렬되고 전쟁이 다시 시작됨(1597)
7년 전쟁의 종식
: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사망으로 일본군 철수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1. 정묘호란
왜란의 수습
: 선조의 뒤를 이은 광해군은 토지 대장과 호적을 재정비하고 궁궐과 성곽을 수리함
중립외교
: 광해군은 누르하치가 세운 후금과 한족의 명 사이에서 실리를 취하고자 중립을 고수함
인조반정
: 광해군의 집권과 정책에 불만을 품은 서인 일파가 정변을 통해 광혜군을 폐위함
발발
: 인조반정 이후 조선은 명과 친하게 지내고 금을 배격하는 친명배금 정책을 취함 → 불만을 품은 후금이 1627년 조선 침공
전개
: 후금은 황해도까지 침입했다가 조선과 형제의 맹약을 맺는 조건으로 철수
2. 병자호란
배경
: 후금의 홍타이지(태종)는 나라 이름을 청으로 바꾸고 명 공략에 앞서 조선에 군신 관계를 요구 → 조선에선 외교적 해결을 주장하는 주화론과 타협을 거부하는 척화론이 대립하나 척화론으로 이견이 기울게 됨
발발
: 1636년 홍타이지가 대규모 병력을 이끌고 조선 침공
전개
: 청군이 5일 만에 한성 함락 → 인조의 남한산성 피신 → 왕족이 피란해 있던 강화도가 함락되고 각지의 구원군마저 궤멸되자 인조는 삼전도에 나와 청에 항복함
전쟁의 피해
1. 조선
왜란과 호란으로 거듭된 전쟁 탓에 큰 피해를 봄
수도 한양을 비롯해 많은 도시가 파괴되고 농지가 황폐해짐
인구가 줄고 살림이 피폐해졌으며 많은 이가 타국에 포로로 잡혀감
일본군은 침공 당시 전공을 증명하기 위해 조선인의 귀와 코를 베어 일본으로 보냄
청은 명 정벌에 사용한다는 명분으로 군사물자와 금, 은 등을 요구하는 한편 왕자와 신하 등을 인질로 잡아감
정신적 폐해
: 오랑캐라고 얕보던 일본, 여진의 침략에 대패하고 왕이 피난 가거나 굴욕적으로 항복함 / 포로로 잡혀갔던 여성은 돌아와서도 외면당하는 이중고를 겪음
2. 일본
조선 침략 과정에서 다이묘들이 병사를 징발하고 전쟁 비용을 부담함
다이묘 아래 무사와 농민층도 직접적인 고통과 피해를 겪음
3. 명
왜란에 참전하며 요동의 군대가 타격을 받아 여진족이 힘을 키울 기회를 줌
참전에 따른 재정 부담
동아시아사
개념 정리, 수행평가, 그리고 문제 분석까지 제공하는 똑똑 학습 솔루션을 확인해보세요!
똑스 활용하기
개념 정리, 수행평가, 그리고 문제 분석까지 제공하는 학습 솔루션을 확인해보세요!
바로가기
앱으로 공부해볼래?
1200+ 이상의 학습 콘텐츠를 내 손안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