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정리, 문제 분석, 그리고 논술까지 제공하는 똑스의 AI학습 솔루션 체험하기!
서비스 보러가기
교육 콘텐츠
왜 똑똑?
콘텐츠 로드맵
핵심 기능
학습 로드맵
똑똑 과목
중등사회
NEW
고등사회
중등역사
고등역사
중등윤리
고등윤리
대표 콘텐츠 유형
개념 정리
문제 풀이
입시
소개
콘텐츠
시사 콘텐츠
뉴스레터
단체 구독
가격
문의
학습하기
사용 설명서
동아시아사
성리학의 성립과 확산
2-3-3
동아시아 세계의 성립과 변화
유학과 불교
유학에서 성리학으로
1. 유학의 쇠퇴와 성리학의 성립
유학의 지위 변천
: 한나라 때 국교 지정 → 남북조 시대 불교와 도교가 떠오르며 약화 → 수·당 시절 과거제 시행으로 부흥 → 인간의 심성과 사물에 대한 성찰이 부족한 점이 문제로 남음
성리학의 성립
: 송나라 때 불교와 도교의 형이상학적 논리 체계를 수양하고 이론적인 탐구와 수양을 중요시 하는 경향이 나타남 → 신유학(성리학) 성립
2. 사대부와 성리학
송 대 사대부들은 인간, 사회, 자연을 구성하는 보편적 원리에 관심을 두고 이를 밝혀내고자 함
정이
: 인간 본성과 우주 만물이 ‘이(理)’라는 보편적 원리로 묶여 있다고 주장 → 인간의 본성인 성(性)이 곧 우주의 원리
주희
: 성리학을 집대성했으며 수행의 실천을 통해 본성을 회복해야 한다고 주장 → 수행 방법으로 거경 궁리와 격물치지 제시
오경에서 사서로
1. 변화
송 대 유학자들은 오경보다 사서(『대학』 『논어』 『맹자』 『중용』)를 중요하게 여김
『사서집주』
: 주희가 사서에 주석을 단 책으로 원 나라 때엔 과거 시험 교재로 채택될 정도로 이후 큰 권위를 지님
『소학』
: 성리학 입문서로서 성리학의 기본 개념, 수행 방법, 예절 등을 담아 어릴 때부터 읽도록 함
성리학의 바탕이 되는 성선설과 천명사상 등을 주장한 맹자의 위상이 유학의 시초 공자만큼 커짐
2. 전파
성리학은 동아시아 각국에 전파돼 충, 효, 예 등의 가치관을 전파하고 인간과 자연에 대한 철학적 사유를 심화하는 데 기여
유목 민족이 세운 금이 한족의 남송을 압박하자 한족의 민족의식이 높아져 성리학에 영향을 미침 → 성리학에서 대의명분론과 화이관 대두
조선과 일본에도 영향 (예: 조선에서 병자호란 이후 제기된 북벌론, 19세기 척화론, 일본의 존왕양이론)
성리학의 보급
1. 남송 이후
서원
: 성현의 제사와 후학 양성을 위한 사설 교육 기관으로 사대부들의 결집지 역할도 함
향약
: 향촌의 자치 규약으로 성리학적 규범이 서민에게도 확산하는 역할을 함
2. 명
민간에 유학 이념을 널리 보급하고 원에 이어 성리학을 과거 시험의 기준으로 삼음
성리학을 집대성한 문헌이 편찬돼 과거 시험의 참고서 역할을 함(예: 『성리대전』)
신사
: 명나라의 지배층으로 지역 여론을 주도하고 향촌 사회에 유학적 가치관을 널리 퍼뜨림
3. 양명학
성립
: 성리학이 도덕적 통치나 과거제를 위한 학문으로만 쏠리자 이에 반발해 실천을 강조하는 양명학 출현
왕수인
: 마음이 곧 만물의 원리이고 인간의 본질은 평등하므로 태어났을 때의 착한 마음을 잘 수양하는 것으로 충분하다고 주장
실용적이고 실천적이어서 사대부뿐 아니라 서민에게 환영받음
실천 없이 공허한 이론으로 흐르는 공리공론의 폐단도 나타남
고려와 조선의 성리학
1. 고려
성리학의 전파
: 13세기 말 원에서 고려로 전해짐
신흥 세력인 신진 사대부들에 의해 퍼졌으며 사서는 과거 시험 과목에 포함되기도 함
신진 사대부들은 성리학을 사상적 기반으로 삼아 당대 불교 및 권문세족의 부패를 비판
2. 조선
신진 사대부와 신흥 무인 세력이 세운 조선에서 성리학은 조선의 건국 이념이 됨
국가 의례나 사회 의례의 기준으로도 작용
예시
: 유교적 혼례, 상례, 제례 등
조선 중엽 ‘인간의 본성이 곧 우주의 원리’라는 성리학의 기본 개념에서 출발한 철학적 논의가 활발해짐
예시
: ‘사단(인, 의, 예, 지의 단서가 되는 네 가지 마음인 측은지심, 수오지심, 사양지심, 시비지심)과 칠정(사람의 일곱 가지 감정인 기쁨, 노여움, 슬픔, 즐거움, 사랑, 미움, 욕심)은 구별되는가?’ ‘사람과 동물의 본성이 같은가?’ 등
16세기 이후 사림이 성장하며 서원이 세워지고 향약이 보급됨 → 향촌 사회 곳곳에 성리학적 질서가 자리 잡음
최초의 서원
: 백운동 서원
향약
: 중종 때 처음 시행돼 선조 때 전국으로 확산
일본의 성리학
1. 전파
가마쿠라 시대 후기에 전파돼 주로 승려 사이에서 연구
정착
: 에도 시대 승려 후지와라 세이카가 정유재란 때 일본에 잡혀온 강항과 교류하며 성리학 연구가 활발해짐
후지와라 세이카
: 일본 최초의 사서오경 주석본인 『사서오경왜훈』을 간행하고 하야시 라잔 등 제자를 기름
하야시 라잔
: 성리학을 바탕으로 에도 막부의 제도와 의례 정비 → 성리학은 막부의 관학이 됨
2. 한계
중국이나 한국과 달리 무사들이 신분을 세습하며 지배층을 구성
유학 경전에 대한 소양으로 관리를 임명하는 과거제가 없음
불교와 신토의 영향력이 우세해 성리학이 사회 전반으로 확산되지 않음
당신의 AI학습 도우미
29개 과목, 50개 이상의 AI학습도구
가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