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의 전파와 문화 교류

동아시아사

불교의 전파와 문화 교류

대승 불교의 성립과 전파

1. 성립

  • 불교의 성립 : 기원전 6세기 인도
  • 석가모니의 가르침에 따라 해탈을 목표로 명상과 교리 연구
  • 대승 불교 : 부처와 보살의 자비로 중생의 구제를 주장하는 대승 불교 출현(기원전 1세기)

2. 중국으로의 전파

  • 기원 전후 중앙아시아를 거쳐 화북 지역에 전해짐
  • 강남 등지에는 바닷길을 통해서도 전해짐
  • 후한말 사회 혼란 속에 민중의 관심을 끌기 시작
  • 5호 16국 시대 : 유목 민족 국가들의 후원 속에 화북 지역에 확산 / 인도·중앙아시아 승려들에 의해 불경이 한문으로 번역됨
  • 남북조 시대 : 황제의 권위와 신앙심을 드러내고자 사찰과 거대 불상이 다수 지어짐

3. 한반도로의 전파

  • 국가 체제 정비 과정에서 왕권 강화의 일환으로 삼국은 불교를 받아들임
  • 고구려 -> 전진 통해 수용 / 백제 -> 동진 통해 수용 / 신라 -> 고구려 통해 수용, 원효 등의 활약으로 민중에 적극 전파됨

4. 일본으로의 전파

  • 6세기 중엽 백제를 통해 수용
  • 토착 신앙과 갈등을 빚었으나 일부 호족의 비호 아래 보급됨
  • 왕권을 과시하고자 대규모 사찰이 지어짐

불교의 토착화

1. 국교로서 정착

  • 왕이 곧 부처라는 논리로 왕권 강화 및 사회 안정에 활용
  • 대규모 사찰과 불상 건립을 통해 왕의 권위와 신앙심 과시 (윈강·롱먼 석굴 사원)
  • 부처의 공덕을 기려 국가 차원에서 도움을 얻고자 대장경 간행

2. 국가 주도의 관리

  • 승려와 사찰을 관리하는 행정 기구 설치
  • 출가에 국가의 허락을 받도록 함
  • 승려 : 국가나 왕실의 평안을 기원하는 종교 행사를 주관하고 국사나 왕사는 왕의 자문 역할을 함
  • 승병 : 외세 침략 시 조직돼 전쟁에 나서기도 함

3. 전통 사상 및 고유 신앙과의 결합

  • 유교와의 결합 : 당 「부모은중경」 -> 유교의 주요 덕목 효를 불교에 접목해 편찬한 경전으로 한반도, 일본에까지 보급
  • 고유 신앙과의 결합 : 고려 팔관회 (산천이나 용을 섬기는 토속 신앙과 불교가 결합된 국가 행사) / 조선의 사찰 (산신각, 칠성각) / 일본 신불습합 (일본 고유의 다신교 신토와 결합해 부처나 보살도 신토의 신들이 모습을 바꿔 나타난 것으로 주장)

불교 문화의 확산

1. 불교 예술

  • 기존에 없던 새로운 조형미와 기술의 결정체로서 각국 문화에 큰 영향을 미침
  • 불상 : 석불, 금동불(청동+금), 목불, 이불(나무틀+진흙), 건칠불(종이 또는 천 사용) 등
  • 불화 제작과 함께 안료 등을 사용하는 새로운 회화 기법 확산
  • 종과 탑의 제작이나 기단, 주춧돌, 기와 등을 사용하는 건축술 확산

2. 불경

  • 불경의 제작 과정에서 목판 인쇄술 발달
  • 신라 : 8세기 『무구정광대다라니경』
  • 일본 : 『백만탑다라니경』
  • 10세기 이후 : 송, 거란, 금, 고려가 각각 대장경 발행
  • 예시 : 우리나라 해인사 『팔만대장경』

인적·지적 교류의 증대

1. 활발한 교류

  • 배경 : 불교를 배우거나 불경을 구하기 위해 승려들이 자주 오감에 따라 나라 사이 인적·지적 교류가 활발해짐
  • 사찰 : 국적을 떠나 불교를 매개로 사람들이 교류하고 지식을 나누는 중심지 역할
  • 승려 : 국적을 따지지 않는 국제인 취급
  • 현장 : 당의 승려로 인도에 유학하고 많은 불경을 들여와 번역함
  • 혜초 : 신라의 승려로 인도와 중앙아시아를 다녀와 『왕오천축국전』 편찬
  • 혜자 : 고구려의 승려로 일본 쇼토쿠 태자가 스승으로 모심
  • 감진 : 당의 승려로 일번에 건너가 계율 전파
  • 신라의 의상, 일본의 엔닌 등은 당에 불교 유학을 다녀옴

2. 영향

  • 불경 공부 과정에서 한문과 한자에 대한 이해가 깊어짐
  • 승려들은 한문으로 된 불경을 읽어 한자로 의사소통할 수 있었음
  • 신라 :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우리말로 표기하는 이두 개발
  • 일본 : 한자를 변형해 일본어로 표기하는 가나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