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 정식 서비스를 활용하세요!
교과서 요약, 용어사전, 5분 탐구, 그리고 수행평가 및 문제 분석까지!
바로가기
개념정리, 문제 분석, 그리고 논술까지 제공하는 똑똑의 AI학습 솔루션 체험하기!
서비스 보러가기
교육 콘텐츠
왜 똑똑?
콘텐츠 로드맵
핵심 기능
학습 로드맵
똑똑 과목
중등사회
NEW
고등사회
중등역사
고등역사
중등윤리
고등윤리
대표 콘텐츠 유형
개념 정리
문제 풀이
입시
교과 콘텐츠
시사 콘텐츠
커뮤니티
문의/제휴
학습하기
동아시아사
불교의 전파와 문화 교류
2-3-2
동아시아 세계의 성립과 변화
유학과 불교
1분 요약
대승 불교의 성립과 전파
1. 성립
불교의 성립
: 기원전 6세기 인도
석가모니의 가르침에 따라 해탈을 목표로 명상과 교리 연구
대승 불교
: 부처와 보살의 자비로 중생의 구제를 주장하는 대승 불교 출현(기원전 1세기)
2. 중국으로의 전파
기원 전후 중앙아시아를 거쳐 화북 지역에 전해짐
강남 등지에는 바닷길을 통해서도 전해짐
후한말 사회 혼란 속에 민중의 관심을 끌기 시작
5호 16국 시대
: 유목 민족 국가들의 후원 속에 화북 지역에 확산 / 인도·중앙아시아 승려들에 의해 불경이 한문으로 번역됨
남북조 시대
: 황제의 권위와 신앙심을 드러내고자 사찰과 거대 불상이 다수 지어짐
3. 한반도로의 전파
국가 체제 정비 과정에서 왕권 강화의 일환으로 삼국은 불교를 받아들임
고구려 -> 전진 통해 수용 / 백제 -> 동진 통해 수용 / 신라 -> 고구려 통해 수용, 원효 등의 활약으로 민중에 적극 전파됨
4. 일본으로의 전파
6세기 중엽 백제를 통해 수용
토착 신앙과 갈등을 빚었으나 일부 호족의 비호 아래 보급됨
왕권을 과시하고자 대규모 사찰이 지어짐
불교의 토착화
1. 국교로서 정착
왕이 곧 부처라는 논리로 왕권 강화 및 사회 안정에 활용
대규모 사찰과 불상 건립을 통해 왕의 권위와 신앙심 과시 (윈강·롱먼 석굴 사원)
부처의 공덕을 기려 국가 차원에서 도움을 얻고자 대장경 간행
2. 국가 주도의 관리
승려와 사찰을 관리하는 행정 기구 설치
출가에 국가의 허락을 받도록 함
승려
: 국가나 왕실의 평안을 기원하는 종교 행사를 주관하고 국사나 왕사는 왕의 자문 역할을 함
승병
: 외세 침략 시 조직돼 전쟁에 나서기도 함
3. 전통 사상 및 고유 신앙과의 결합
유교와의 결합
: 당 「부모은중경」 -> 유교의 주요 덕목 효를 불교에 접목해 편찬한 경전으로 한반도, 일본에까지 보급
고유 신앙과의 결합
: 고려 팔관회 (산천이나 용을 섬기는 토속 신앙과 불교가 결합된 국가 행사) / 조선의 사찰 (산신각, 칠성각) / 일본 신불습합 (일본 고유의 다신교 신토와 결합해 부처나 보살도 신토의 신들이 모습을 바꿔 나타난 것으로 주장)
불교 문화의 확산
1. 불교 예술
기존에 없던 새로운 조형미와 기술의 결정체로서 각국 문화에 큰 영향을 미침
불상
: 석불, 금동불(청동+금), 목불, 이불(나무틀+진흙), 건칠불(종이 또는 천 사용) 등
불화 제작과 함께 안료 등을 사용하는 새로운 회화 기법 확산
종과 탑의 제작이나 기단, 주춧돌, 기와 등을 사용하는 건축술 확산
2. 불경
불경의 제작 과정에서 목판 인쇄술 발달
신라
: 8세기 『무구정광대다라니경』
일본
: 『백만탑다라니경』
10세기 이후
: 송, 거란, 금, 고려가 각각 대장경 발행
예시
: 우리나라 해인사 『팔만대장경』
인적·지적 교류의 증대
1. 활발한 교류
배경
: 불교를 배우거나 불경을 구하기 위해 승려들이 자주 오감에 따라 나라 사이 인적·지적 교류가 활발해짐
사찰
: 국적을 떠나 불교를 매개로 사람들이 교류하고 지식을 나누는 중심지 역할
승려
: 국적을 따지지 않는 국제인 취급
현장
: 당의 승려로 인도에 유학하고 많은 불경을 들여와 번역함
혜초
: 신라의 승려로 인도와 중앙아시아를 다녀와 『왕오천축국전』 편찬
혜자
: 고구려의 승려로 일본 쇼토쿠 태자가 스승으로 모심
감진
: 당의 승려로 일번에 건너가 계율 전파
신라의 의상, 일본의 엔닌 등은 당에 불교 유학을 다녀옴
2. 영향
불경 공부 과정에서 한문과 한자에 대한 이해가 깊어짐
승려들은 한문으로 된 불경을 읽어 한자로 의사소통할 수 있었음
신라
: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우리말로 표기하는 이두 개발
일본
: 한자를 변형해 일본어로 표기하는 가나 개발
동아시아사
개념 정리, 수행평가, 그리고 문제 분석까지 제공하는 똑똑 학습 솔루션을 확인해보세요!
똑스 활용하기
개념 정리, 수행평가, 그리고 문제 분석까지 제공하는 학습 솔루션을 확인해보세요!
바로가기
앱으로 공부해볼래?
1200+ 이상의 학습 콘텐츠를 내 손안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