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 정식 서비스를 활용하세요!
교과서 요약, 용어사전, 5분 탐구, 그리고 수행평가 및 문제 분석까지!
바로가기
개념정리, 문제 분석, 그리고 논술까지 제공하는 똑똑의 AI학습 솔루션 체험하기!
서비스 보러가기
교육 콘텐츠
왜 똑똑?
콘텐츠 로드맵
핵심 기능
학습 로드맵
똑똑 과목
중등사회
NEW
고등사회
중등역사
고등역사
중등윤리
고등윤리
대표 콘텐츠 유형
개념 정리
문제 풀이
입시
교과 콘텐츠
시사 콘텐츠
커뮤니티
문의/제휴
학습하기
동아시아사
농경과 목축
1-1-3
동아시아 역사의 시작
동아시아와 동아시아 사람들
1분 요약
농경과 농경민의 생활
1️. 벼농사 시작
기원전 6000년경 창장강 중·하류 지역
쌀은 영양소가 풍부하고 단위 면적당 생산력이 높아 많은 인구를 부양할 수 있음
2. 벼농사 전파
창장강 중·하류 지역 → 산둥반도 → 한반도 → 바닷길 통해 일본 규슈 북부 지역
벼농사에 필요한 농기구 등의 기술과 재배 노하우에 필요한 노동력이 함께 전파
3. 밭농사 시작
기원전 8000년경 황허강 인근
콩, 수수, 조, 기장 등
쌀에 비해 재배 기간이 짧고 척박한 토양이나 가뭄 속에서도 잘 자람
4. 농경민의 생활
농경을 통한 생산량이 충분치 않아 초기에는 수렵채집, 어로, 목축을 병행해 식량을 보충함
농경이 주 생산수단으로 자리 잡음에 따라 물을 대기 위한 관개·수리 시설, 제방을 건설
집중적인 노동력이 필요한 농번기에 주민을 효율적으로 통제하기 위해 조직 발달 → 중앙 집권형 권력 출현
목축
1️. 목축
배경
: 강수량이 적고 곡물을 재배하기 힘든 척박한 곳의 생업으로 행해짐
2. 방목
일정 구역 안에서 가축을 풀어놓고 기름
정착 생활이므로 농경을 일부 병행 하기도 함
3. 유목
계절에 따라 구역을 이동하면서 가축을 기름
이동과 휴식에 필요한 숙영지를 중심으로 이동
양, 말, 염소, 낙타 등을 기름
조립과 분해가 쉬운 이동식 가옥(예: 몽골 전통 가옥 ‘게르’)에 거주함
목축민의 생활
1. 수렵
활과 매를 이용해 새, 토끼, 여우, 사슴 등을 사냥해 식량으로 삼고 가죽, 모피는 교역물로 삼음
2. 가축
고기, 젖, 유제품은 식량으로 삼고 가죽, 털, 뼈, 뿔, 힘줄 등은 의복, 담요, 천막, 노끈, 생활용품을 만드는 데 사용. 배설물은 땔감으로 씀
낙타, 소 등은 물건을 운반하는 데 활용하고 말은 이동 및 전투 수단으로 중요히 여겨짐
3. 부족사회
농경사회처럼 중앙집권형 군주의 권력이 강하지 않고, 부족을 이끄는 부족장의 권한이 강함
농경 민족과 북방 민족
1️. 북방 유목 민족의 대두
기마 집단의 전투력은 이후 안장과 발걸이가 발명되고 마상 궁술이 발달하며 더욱 강해짐
흉노
: 동아시아 최초 유목 민족으로 기원전 3세기 말 출현. 몽골고원을 터전 삼아 유목 국가를 세우고 진, 한을 압박함
흉노 건국 이후 선비, 돌궐, 위구르, 거란, 몽골 등의 유목 민족이 출현해 유라시아 초원 지대를 장악함
몽골
: 강력한 군사력을 바탕으로 동아시아뿐 아니라 유라시아 전역을 점령
여진
: 수렵 미족으로서 이후 금과 후금(청)을 세움
2️. 농경 민족과 북방 민족의 관계
교역 및 상호 협력
: 농경 민족(곡물, 차, 비단, 금 등) ↔ 북방 민족(말, 모피, 주옥 등)
정치적 이유로 교역이 제한되거나 기후 변화 등의 이유로 생업에 위기가 찾아오면 충돌과 갈등을 빚음(예: 기온 하락에 따른 북방 민족의 남하)
잦은 다툼으로 점차 서로 부정적 시선으로 보게 됨 ex. 농경 민족 -> 북방 민족 = 가난하고 야만적인 오랑캐 / 북방 민족 -> 농경 민족 = 땅에 얽매이는 자유롭지 못한 존재
이후 동아시아 세계의 변동과 갈등의 원인으로 작용하기도 함
동아시아사
개념 정리, 수행평가, 그리고 문제 분석까지 제공하는 똑똑 학습 솔루션을 확인해보세요!
똑스 활용하기
개념 정리, 수행평가, 그리고 문제 분석까지 제공하는 학습 솔루션을 확인해보세요!
바로가기
앱으로 공부해볼래?
1200+ 이상의 학습 콘텐츠를 내 손안에!!